타워크레인 안전관리를 위한 지능형 위험진단 자질 선정 및 수집 장치

타워크레인 사고는 다수의 작업자가 사망하는 산업재해이자 인접한 도로 및 건물 등에 연쇄 피해로 이어지는 매우 위험한 중대재해사고이다. 특히 한번 설치된 타워크레인은 작업자가 부재한 상태에서도 현장에 오랜 기간 무방비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타워크레인 작업현장에 대한 365일, 24시간 안전관리 통합관제 체제를 통해 타워크레인 안전관리 수칙 준수 여부와 현황 관리 대한 종합적 모니터링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타워크레인 안전관리를 위한 지능형 위험진단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타워크레인 위험을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5(1) pp. 157 - 169
Main Author 윤보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01.04.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35-6856
2734-0392
DOI10.23089/jdca.2022.5.1.0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타워크레인 사고는 다수의 작업자가 사망하는 산업재해이자 인접한 도로 및 건물 등에 연쇄 피해로 이어지는 매우 위험한 중대재해사고이다. 특히 한번 설치된 타워크레인은 작업자가 부재한 상태에서도 현장에 오랜 기간 무방비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타워크레인 작업현장에 대한 365일, 24시간 안전관리 통합관제 체제를 통해 타워크레인 안전관리 수칙 준수 여부와 현황 관리 대한 종합적 모니터링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타워크레인 안전관리를 위한 지능형 위험진단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타워크레인 위험을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자질을 선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작업현장의 국지적 기상정보를 분석하고 활용함으로써 1차 사고를 예방하고 나아가 2차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길 고대한다. The tower crane accident is an industrial accident in which many workers die and a very dangerous serious accident that leads to chain damage on adjacent roads and buildings. This study is a prior study to develop an intelligent risk diagnosis model for tower crane safety management, and it is intended to discuss how to select and measure the features to preemptively detect and monitor tower crane risks. KCI Citation Count: 0
ISSN:2635-6856
2734-0392
DOI:10.23089/jdca.202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