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 지각한 아동기 부ㆍ모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아동기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00명이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는 아동기 부모 돌봄, 자기표상, 타인표상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아동기 부모 과보호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타인표상과 자기표상은 모 돌봄, 부 과보호, 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놀이치료학회지, 25(1) pp. 59 - 81
Main Authors 문현진, 박희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놀이치료학회 01.0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아동기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00명이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는 아동기 부모 돌봄, 자기표상, 타인표상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아동기 부모 과보호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타인표상과 자기표상은 모 돌봄, 부 과보호, 모 과보호와 대인관계문제의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 돌봄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타인표상은 자기표상을 통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생이 지각하는 아동기 부모 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표상이 매우 의미 있는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대학생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project aim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presentation and others-repres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st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0 university students.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reveal any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evel of parental’s care, self-representation, and othersrepresentation, a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level of parental’s overprotection. Second, the others-representation and self-repres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perfect mediating effect in their relationship with a mother’s care, a father’s overprotection, a mother’s overprote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care and interpersonal problems has been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rough self-represent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thers-representation is a variable that indirectly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us, self-representation is a very meaningfu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s could serve as a basic resource and could prove to be useful for better understanding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0858
2384-0153
DOI:10.17641/KAPT.2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