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공간의 해체주의적 구조 개념과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급진적이고 우월한 르네상스의 대변혁, 그 겉면에 덧발라진 생경함과불안함을 세계의 취약함과 삶의 비극성으로 극화하려는 전복적 상상력은문학, 미술, 음악 분야를 넘어서 17세기 문화 전반을 가로지르는 미학적패러다임으로 수렴되었고 바로크라는 독특한 미학 개념을 전착시켰다. 이는 신적이고 이데아적인 공고함을 지향하던 본질주의가 인간 중심의 주체주의로 전향되던 르네상스의 진리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반동이며, 상대적 심미주의로의 사유 전환이라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사유의 변화는 진공상태에서 멈추어져있던 견고한 공간의 개념을 끊임없이 흐르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바로크연구, 4(0) pp. 27 - 56
Main Author 한명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바로크학회 0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36-0896
DOI10.23098/baroqu.2021.4..0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급진적이고 우월한 르네상스의 대변혁, 그 겉면에 덧발라진 생경함과불안함을 세계의 취약함과 삶의 비극성으로 극화하려는 전복적 상상력은문학, 미술, 음악 분야를 넘어서 17세기 문화 전반을 가로지르는 미학적패러다임으로 수렴되었고 바로크라는 독특한 미학 개념을 전착시켰다. 이는 신적이고 이데아적인 공고함을 지향하던 본질주의가 인간 중심의 주체주의로 전향되던 르네상스의 진리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반동이며, 상대적 심미주의로의 사유 전환이라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사유의 변화는 진공상태에서 멈추어져있던 견고한 공간의 개념을 끊임없이 흐르고 움직이고 변화하는 가변적인 장소의 개념으로 해체하였다. 절대주의적 공간이 붕괴되고 유동하는 맵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혀 새로운 위상 궤적에 의하여, 계속 변하는 상대적인 시간 속에서, 전형적인 공간의 개념은 사건을 체험하는 유일무이한 장소의 개념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서구예술 전반의 지평을 전복시킨 변화라고 상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전환, 즉 17세기의 바로크예술 자체가 오늘날 우리곁에 있는 예술 형식의 전부이기 때문이다. 17세기 이후 현대로까지 이어지는 예술의 흐름 자체가 바로크 예술의 진화 과정인 셈이다. 바로크 이후 로코코, 아방가르드, 인상파, 입체파,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추상주의등 수많은 현대 예술의 사조는 결국 부분적으로 형식을 달리하는 바로크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지난 50년간 출간된 건축분야의 논문집들을 살펴보면 기존 시대의 관념을 극복하려는 거대한 흐름이 발견되는데, 이를 종합하면 해체주의라는 비표상의 건축으로 수렴됨을 알 수있고, 그것은 르네상스의 전형성을 극복하려는 바로크의 특성과 구조적인공통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건축의 그러한 해체주의적 건축 언어들이 17세기 건축과 회화의 공간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바로크적인 특성들과 결부되어 있다는 관점을 토대로 두 시대 건축 형태의 조형적 특이성을 유형별로 비교하여 인과성을 분석한다. The radical and superior Renaissance transformation, the subversive imagination to dramatize the rawness and anxiety on its surface into the world's vulnerability and tragedy of life, converged into an aesthetic paradigm across culture in the 17th century, beyond literature, art, and music, and deposited the unique aesthetic concept of Baroque. This can be evaluated as an overall reaction to the truth system of the Renaissance when essentialism aimed at divine and ideological solidarity was converted to human-centered subjectivism, and a shift in thinking to relative aestheticism. This change in thought dismantled the concept of a solid space that had been stopped in a vacuum into the concept of a variable place that constantly flows, moves, and changes. By the program of maps in which absolute space collapses and flows, by a completely new phase trajectory, in the ever-changing relative time, the concept of typical space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a unique place to experience events. This can be assumed to be a change that overturned the horizon of Western art as a whole. This is because such a transition, that is, baroque art itself in the 17th century, is all about the art form next to us today. In other words, the flow of art itself that continues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present is the evolutionary process of Baroque art. Since Baroque, numerous contemporary art trends such as Rococo, avant-garde, Impressionism, Cubism, Dadaism, Surrealism, and Abstractism can be said to be the product of Baroque, which eventually differs in form in part. In particular, looking at the collections of paper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published over the past 50 years, there is a huge trend to overcome the ideas of the existing era, which can be seen as converging into non-representative architecture of dismantlingism,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Baroque to overcome the typical Renaissa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ausality by comparing the formative specificity of the architectural forms of the two periods by type based on the view that such deconstructive architectural languages of modern architecture are linked to various baroque characteristics in the space of 17th century architecture and painting.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baroque.re.kr/wp-content/uploads/2021/12/12.29-%EB%B0%94%EB%A1%9C%ED%81%AC%EC%97%B0%EA%B5%AC-Vol.4.pdf
ISSN:2636-0896
DOI:10.23098/baroqu.2021.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