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서 콘 플레이트 점도계를 사용한 전혈 점도의 참고구간 설정

혈액 점도는 심뇌혈관 질환과 말초 혈관 질환의 예측의 새로운 표지자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콘플레이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한국인의 혈액 점도의 참고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2017년 9월 부터 10월까지 총 286명의 건강인(남성 160명, 여성 126명)에서 ZL6000P 점도 측정기(Beijing ZONCI Technology Development Co., China)를 사용하여 혈액 점도를 측정하였다. CLSI EP28-A3c 가이드라인에 따라 비모수적 퍼센타일 방법을 사용하여 전단율 5 s-1과 300 s-1에서 혈액 점도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Laboratory Medicine Online, 11(3) pp. 162 - 170
Main Authors 박미경, 김한아, 문희원, 허미나, 윤여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진단검사의학회 01.07.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6338
DOI10.47429/lmo.2021.11.3.16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혈액 점도는 심뇌혈관 질환과 말초 혈관 질환의 예측의 새로운 표지자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콘플레이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한국인의 혈액 점도의 참고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2017년 9월 부터 10월까지 총 286명의 건강인(남성 160명, 여성 126명)에서 ZL6000P 점도 측정기(Beijing ZONCI Technology Development Co., China)를 사용하여 혈액 점도를 측정하였다. CLSI EP28-A3c 가이드라인에 따라 비모수적 퍼센타일 방법을 사용하여 전단율 5 s-1과 300 s-1에서 혈액 점도의 참고 범위를 설정하였다. 전단율 5 s-1에서의 혈액 점도의 중앙값(사분범위)은 총 대상자에서 9.34 millipascal-second (mPa·s), 남성에서 10.12 mPa·s (9.33-10.54) 및 여성에서 8.53 mPa·s (7.95-9.08)이었다. 전단율 300 s-1에서의 혈액 점도의 중앙값(사분범위)은 총 대상자에서 3.72 mPa·s (3.45-4.00), 남성에서 3.94 mPa·s (3.74-4.10) 및 여성에서 3.42 mPa·s (3.23-3.62)이었다. 전단율 5 s-1와 300 s-1에서의 남성의 혈액 점도의 중앙값(사분범위)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전단율 5 s-1에서의 혈액 점도의 97.5 퍼센타일 상한치는 총 대상자에서 11.32 mPa·s, 남성에서 12.08 mPa·s, 여성에서 10.38 mPa·s였다. 전단율 300 s-1에서의 혈액 점도의 97.5 퍼센타일 상한치는 총 대상자에서 4.47 mPa·s, 남성에서 4.83 mPa·s, 여성에서 4.22 mPa·s였다. 이 연구는 한국인에서 콘플레이트 점도계인 ZL6000P 점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혈액 점도의 참고구간을 설정한 첫 번째 연구이다. 성별에 따른 혈액 점도의 참고구간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Background: Whole blood viscosity (WBV) is emerging as a biomarker to predict cardio-cerebrovascular and peripheral vascular diseas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reference intervals (RIs) of WBV using a cone-plate viscometer, in a Korean population. Method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7, the WBV levels of 286 healthy individuals (160 men and 126 women) were assayed using a ZL6000P blood viscosity analyzer (Beijing ZONCI Technology Development Co., China). The RIs of WBV were defined at 5 and 300 s-1 using a nonparametric percentile method, according to the CLSI EP28-A3 guideline. Results: At 5 s-1, the median WBV (interquartile range, IQR) was 9.34 (8.54-10.29) millipascal-second (mPa·s) in the total population, 10.12 (9.33-10.54) mPa·s in men, and 8.53 (7.95-9.08) mPa·s in women. At 300 s-1, the median WBV (IQR) was 3.72 (3.45-4.00) mPa·s in the total population, 3.94 (3.74-4.10) mPa·s in men, and 3.42 (3.23-3.62) mPa·s in women. The WBV levels at 5 and 300 s-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in women (P<0.001). The 97.5th percentile upper reference limit (URL) for WBV at 5 s-1 was 11.32 mPa·s in the total population, 12.08 mPa·s in men, and 10.38 mPa·s in women. The 97.5th percentile URL for WBV at 300 s-1 was 4.47 mPa·s in the total population, 4.83 mPa·s in men, and 4.22 mPa·s in women.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on the RIs of WBV using a cone-plate viscometer (ZL6000P blood viscosity analyzer) in Korea. We suggest that gender-specific RIs should be used for the Korean popula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47429/lmo.2021.11.3.162
ISSN:2093-6338
DOI:10.47429/lmo.2021.11.3.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