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싱 밴드 운동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 태권도 시범단 선수의 관절가동범위, 수직점프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플로싱밴드 운동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태권도 시범단 선수들의 관절가동범위와수직점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플로싱 밴드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D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성 태권도 시범단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그룹(FAIG, n=7명), 경미한 발목 불안정성 그룹(MAIG, n=7명), 발목 안정성 그룹(ASG, n=7명)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그룹은 일회성 플로싱밴드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FAIG의 발등굽힘(Dorsi flexion, p<.01), 안쪽번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7(1) pp. 97 - 105
Main Authors 이진욱, 변용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1.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플로싱밴드 운동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태권도 시범단 선수들의 관절가동범위와수직점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플로싱 밴드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D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성 태권도 시범단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그룹(FAIG, n=7명), 경미한 발목 불안정성 그룹(MAIG, n=7명), 발목 안정성 그룹(ASG, n=7명)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그룹은 일회성 플로싱밴드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FAIG의 발등굽힘(Dorsi flexion, p<.01), 안쪽번짐(Inversion, p<.01), 가쪽번짐(Eversion, p<.05)에서 유의하게 관절가동범위가증가하였으며, 수직점프(p<.01)에서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FAI를 가진 태권도 시범단 선수들의플로싱밴드 운동은 발목의 관절가동범위와 수직점프를 증가시킴으로 경기력 향상과 발목손상의위험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중재방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lossing band exercise on the range of motion and vertical jump for taekwondo demonstration athletes with ankle functional inst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mal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thletes enrolled at D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group(FAIG, n=7), mild ankle instability group(MAIG, n=7), and ankle stability group(ASG, n=7). All groups performed a acute flossing band exercis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orsi flexion(p<.01), inversion(p<.01), eversion(p<.05) and vertical jump(p<.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AIG. Flossing band exercise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with FAI increased joint range of motion and vertical jump.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be an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performance and reduce the risk of ankle injury.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2.27.01.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