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기반 직업훈련 콘텐츠에서 중재 시점의 판단 방법
본 논문은 가상현실 기반의 실감 콘텐츠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 학생이 바리스타 직업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재가 필요한 시점을 도출하기 위해, 가상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각 바리스타 도구들과학생의 손과의 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중재 시점의 판단을 위한 기준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발달장애인훈련센터에 등록된 학생 21명을 심사를 통해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바리스타 도구들을 인지하는 훈련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가 더 이상의 진행을 하지 못하고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연구원과 사전에 약속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7(1) pp. 69 - 7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1.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2.27.01.069 |
Cover
Summary: | 본 논문은 가상현실 기반의 실감 콘텐츠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 학생이 바리스타 직업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중재가 필요한 시점을 도출하기 위해, 가상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각 바리스타 도구들과학생의 손과의 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중재 시점의 판단을 위한 기준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발달장애인훈련센터에 등록된 학생 21명을 심사를 통해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바리스타 도구들을 인지하는 훈련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가 더 이상의 진행을 하지 못하고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연구원과 사전에 약속한대로 손을 들거나 구두로 중재를 요청하도록 하고 이 시점을 기록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바리스타 훈련 콘텐츠로발달장애인이 훈련을 수행하는 중에 중재가 필요한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손으로부터 각 바리스타 도구들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두가지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훈련을 성공한 학생의 손으로부터 관심 바리스타 도구 및 인접 도구들까지의 누적거리는 다른 바리스타도구들까지의 누적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았고 통계적 분석의 결과는 유의미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identifying the moment when a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s assistance intervention in performing barista vocationa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based realistic contents. To this end, 21 students enrolled in a vocational training center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ese students were trained to recognize the barista tools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During the training, if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and were unable to proceed further, they were asked to raise their hands or verbally request assistance. Using the collected data,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 of the student and each barista tool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in order to derive a criterion for judging the moment when an intervention is requir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es, this study found that the cumulative distance from the hand of a student, who successfully finished the training without requiring an intervention, to the target barista tool as well as adjacent tools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cumulative distance to other barista tool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2.27.01.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