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로워십을 활용한 리더십 교양교육에 대한 탐색적 연구-비교과 프로그램으로의 접근 사례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 팔로워십 연구 및 교육 동향, 그리고 리더십 교육과의 연계필요성을 확인하고, 팔로워십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향후 유관 분야 교육과 연구 방향 설정에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팔로워십과 리더십의 연계성을 확인할수 있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기존에 전문가들이 검증해 놓았던팔로워십 역량항목 자료들을 수집해 분석의 기초로 삼았고, 추가적으로 리더십 교양 수업 참여 학생들을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잠재적인 필요역량을 추가하여 분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15(6) pp. 205 - 219
Main Author 장제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0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 팔로워십 연구 및 교육 동향, 그리고 리더십 교육과의 연계필요성을 확인하고, 팔로워십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향후 유관 분야 교육과 연구 방향 설정에기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팔로워십과 리더십의 연계성을 확인할수 있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수요를 반영하여 기존에 전문가들이 검증해 놓았던팔로워십 역량항목 자료들을 수집해 분석의 기초로 삼았고, 추가적으로 리더십 교양 수업 참여 학생들을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잠재적인 필요역량을 추가하여 분석도구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팔로워십이 리더십 교육을 보완하는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대학교양교육에 충분히활성화시킬만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K 대학생들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5가지 팔로워십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팔로워십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이 리더십 교양교과목의 핵심역량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팔로워십을 접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추가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 필요성도 절감하였다. 아울러 교양교육에 있어 팔로워십의 교육 효과성을 확산시키기 위해 졸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음을강조하고, 팔로워십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향후에는 학습자들의 역량수준과 팔로워십 향상목적(자기주도적 대학생활, 팀워크 발휘, 사회진출 준비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운영함이 필요함을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linking “followership” research and educational trends with leadership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future education and research direction through followership programs and the operation of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issue, first, previous studies that can confirm the connection between followership and leadership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re examined. In addition, followership competency items verified by experts were collected and used as the basis for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dditionally conducted with students participating in leadership and liberal arts classes to add potential necessary competenc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followership programs can serve to complement leadership education and are already sufficiently active in university education.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five followership competencies that K university students thought were of primary necessity. Third, we found that followership-related program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leadership and liberal arts subjects. Fourth, we realized the keen necessity of adding additional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support in various fields that can incorporate followership programs. Lastly, we learned of the need to apply various research methods to graduates and enrolled students in order to sprea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llowership program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ed that followership-related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fully considered and operated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ISSN:1976-3212
271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