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스토리텔링을 통한 남북한 동질성 회복과 문화관광 활성화 고찰: 교과교육을 중심으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사이의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면서 상호 단군 관련 유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다. 현재 남한과 북한은 문화적 이질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방법: 본 연구는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스토리 재현을 시도하고자 했다. OSMU 방식은 학습자들이 텍스트 읽기, 발표, 동영상 청취, 그리고 역할극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스토리 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과: 기본적으로 상호 교류는 상호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융합관광콘텐츠연구, 7(3) pp. 35 - 50
Main Authors 강준수, 장용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융합관광콘텐츠학회 0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5646
2508-5654
DOI10.22556/jctc.2021.7.3.3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사이의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면서 상호 단군 관련 유적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다. 현재 남한과 북한은 문화적 이질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방법: 본 연구는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스토리 재현을 시도하고자 했다. OSMU 방식은 학습자들이 텍스트 읽기, 발표, 동영상 청취, 그리고 역할극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스토리 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과: 기본적으로 상호 교류는 상호공감대에서 비롯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북한 공동의 문화유산인 ‘단군 신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기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단군과 관련된 신화는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에서도 공유되는 공통적인 문화로서 쉽게 공감대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결론: 결론적으로 현재 남북한 사이의 관계는 좋지 않으며, 서로를 이해하고 양보할 수 있는 관계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한 사이의 관광은 자연스럽게 상호 교류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단군 관련 역사문화유적은 남북한이 공통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류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남북한 사이의 대립 및 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체적 의식을 형성과 단군 관련 유적지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은 남북 관계의 긴장완화 및 협력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actively utilize the relics related to Dangun mythology while using the storytelling technique as a means to restor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This is because the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increasing. Methods: This study tried to reproduce the story in various ways using OSMU (One Source Multi Use). This is because the OSMU method allows learners to reproduce the story in various ways, such as reading texts, giving presentations, listening to videos, and role-playing. Results: Fundamentally, mutual exchange can stem from mutual empath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torytelling technique using the ‘Myth of Dangun’, a common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 two Koreas. This is because the myth related to Dangun is a common culture shared not only in South Korea but also in North Korea, and it is an easy way to gain consensu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is not good, and it is tim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so that we can understand each other and make concess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tourism between the two Koreas can naturally expand mutual exchanges.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related to Dangun can be said to be a very effective means of laying the groundwork for exchange in that the two Koreas can form a common consensus. Resolving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forming a sense of community, and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using Dangun-related historical sites will be helpful in easing tensions in inter-Korean relations and revitalizing cooperation. KCI Citation Count: 1
ISSN:2508-5646
2508-5654
DOI:10.22556/jctc.2021.7.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