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는 국제결혼의 증가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경로와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개별적․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경로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228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사...
Saved in:
Published in | 국제이해교육연구, 16(2) pp. 33 - 7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01.08.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3665 2671-5538 |
DOI | 10.35179/jeiu.2021.16.2.33 |
Cover
Summary: | 한국사회는 국제결혼의 증가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경로와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개별적․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경로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228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은 자아탄력성 또는 결혼만족도의 개별적 매개과정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은 자아탄력성과 결혼만족도의 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탄력성과 결혼만족도는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응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지역사회기관에서 자아탄력성과 결혼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활성화하며, 한국인 배우자와 부모를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지원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riage immigrant women’s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as well as the dual mediating roles of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of this study was taken from 228 marriage immigrant wom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revealed that the direct effect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social capital on acculturative stress was not significant. Second, marriag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individually mediate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ir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Third, marriage im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individually mediate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ir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Furthermore, marriag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played a sequential mediating role in linking process between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Therefore, marriag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necessities of programs to increas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pouses and parents in-law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family support, which ultimately leads to facilitating immigrant women’s cultural adap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05-3665 2671-5538 |
DOI: | 10.35179/jeiu.2021.16.2.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