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풍선 부풀기 방법을 이용한 풍선 척추 성형술의 방사선학적 결과
연구 계획: 후향적 대조군 연구목적: 시멘트 유출을 줄이고 골과 시멘트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 번의 풍선 부풀기를 시행하여 이 술기의 방사선학적 결과 및 시멘트 유출 비율을 기존 고식적 방법과 비교 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풍선 척추 성형술 도중 시멘트의 유출을 막기 위해 Egg shell 술기등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흉추 혹은 요추의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로 진단된 환자들에 대해 2015년 4월 이후 이중 풍선 부풀기 방법을 이용해 풍선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총 18예와 4월 바로 이전에 고식적...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41 - 46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척추외과학회
01.06.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4378 2093-4386 |
Cover
Summary: | 연구 계획: 후향적 대조군 연구목적: 시멘트 유출을 줄이고 골과 시멘트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 번의 풍선 부풀기를 시행하여 이 술기의 방사선학적 결과 및 시멘트 유출 비율을 기존 고식적 방법과 비교 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풍선 척추 성형술 도중 시멘트의 유출을 막기 위해 Egg shell 술기등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흉추 혹은 요추의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로 진단된 환자들에 대해 2015년 4월 이후 이중 풍선 부풀기 방법을 이용해 풍선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총 18예와 4월 바로 이전에 고식적 방법으로 시행한 연속적인 30예의 술 전 과 술 후 척추 전방 추체 높이의 변화와 시멘트 유출 등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중 풍선 부풀기 방법을 이용한 군의 평균 연령은 81세 였고 남성 1명 여성 17명이었으며 고식적 방법을 시행한 군의 평균연령은 79세였고 남성1명 여성 29명이었다. 이들에 대해서 수술 직후 그리고 수술 후 6주, 수술 후 6개월째 외래 추시 단순 방사선 검사상 측면상에서 전방추체 높이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수술 직후 전후방 사진을 통해 시멘트 유출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과: 전방 추체의 회복은 수술 직후 이중 풍선 부풀기 군에서는 평균 7.58 mm였고, 고식적 방법 군에서는 평균 5.8 mm 증가 하였으나(p=0.044), 술 후6주에 이중 풍선 부풀기 군에서 수술 직후에 비해 평균 3.08 mm 감소, 고식적 방법 군에서는 수술 직후에 비해 평균 4.68 mm 감소(p=0.149)하였고, 수술 후 6개월 추시에서는 이중 풍선 부풀기 군에서 평균 1.45 mm, 고식적 방법 군에서 1.40 mm 감소하였다(p=0.911). 술 후 전방 및 측면 단순 방사선상시멘트 유출은 이중 풍선 부풀기 군에서 22%, 고식적 군에서 27%가 관찰되었다(p=0.730).
결론: 고식적인 방법에 비해 이중 부풀기 풍선 척추 성형술의 경우 전방 추체 높이의 회복을 의미 있게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시멘트 유출 비율도 고식적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칭 제목: 이중 풍선 부풀기 방법 Study Design: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bjectives: We analyzed the radiological results of the double-balloon inflation technique in terms of its ability to reduce cement leakage, to increase bone cement bonding, and to promote anterior column height recov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Various methods, such as the egg-shell technique,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leakage of cement during kyphoplasty in cases of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18 patients diagnosed with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of the lumbar spine who underwent the double-balloon inflation technique after April 2015, and 30 consecutive patients with the same diagnosis who were treated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prior to April 2015. We analyzed the radiological results on immediate postoperative simple X-rays in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views, 6-week postoperative lateral X-rays, and 6-month postoperative lateral X-rays to detect changes in anterior vertebral height and the cement leakage rate.
Results: The average anterior vertebral height increased by 7.58 mm in the double-balloon inflation group, and by 5.8 mm in the conventional group o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s (p=0.044). On average, a decrease of 3.08 mm was observed at 6 weeks postoperatively in the double-balloon inflation group, in contrast to a decrease of 4.68 mm in the conventional group (p=0.149). At the 6-month postoperative follow-up, an average decrease of 1.45 mm was found in the double-balloon inflation technique group, while a decrease of 1.40 mm was found in the conventional group (p=0.9110). The cement leakage rate was 22% in the double-balloon inflation group and 27% in the conventional group (p=0.730).
Conclusio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ouble-balloon inflation technique can be done more safely, and also promotes a greater recovery of anterior vertebral heigh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93-4378 2093-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