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중학교 과학 학생 성취특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인지진단모형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세부 학습영역 결과에 대해 학교 현장 및 교육부관계자 등이 보다 쉽게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류 정보로서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탐색하였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교과 결과를 2차 자료로 활용하여 인지진단모형을적용하여 도출된 8개 세부 학습영역 성취율 추정 정보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도출하고자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과학교과역량을 반영한 세부 학습영역 성취 특성을 유형한 결과, 잠재집단1은 모든 영역에서 균형적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과정평가연구, 24(2) pp. 177 - 198
Main Authors 김희경, 정혜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5.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544
2671-728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인지진단모형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세부 학습영역 결과에 대해 학교 현장 및 교육부관계자 등이 보다 쉽게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류 정보로서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탐색하였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교과 결과를 2차 자료로 활용하여 인지진단모형을적용하여 도출된 8개 세부 학습영역 성취율 추정 정보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도출하고자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과학교과역량을 반영한 세부 학습영역 성취 특성을 유형한 결과, 잠재집단1은 모든 영역에서 균형적인성취를 보였으며, 잠재집단2는 과학적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함양이 필요하고, 잠재집단3은 자료분석 및 해석 능력이 부족한, 반면 잠재집단4는 기본적인 과학적 지식 부분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파악되었으며, 잠재집단5는 과학교과 전반에 대한 지식 및 이해도가 낮았다. 기존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의 4단계 성취수준과 교차하여 그 분포를 파악한 결과, 보통학력과 기초학력 학생집단에서 잠재집단 유형화를 통해 보다 세부적이고 유용한 성취 특성 정보 파악이 가능한 것으로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an approach to enhance the func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results as educational feedback information so that educational policy makers and teachers have more accessibility with the assessment results based on the cognitive diagnosis model (CDM). Using secondary data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applied based on the estimated probabilities of mastery in eight detailed learning areas of science subject, and as a result, five latent groups were derived. In detail, latent group 1 showed excellent achievement in all eight areas. Latent group 2 was named as ‘a group needed to cultivate scientific communication’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detailed learning area 8 (Making argument based on evidence). Latent group 3 was named as ‘a group needed to cultivate scientific thinking’, because this group particularly needs to foster scientific thinking skills, such as ‘explaining phenomena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and problem solving.’ Latent group 4 showed relatively high capacity in ‘general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hile had low ability in ‘scientif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last latent group showed the low performance level on all eight detailed learning areas. Given the cross-tabulation with the latent group membership and achievemnet levels of NAEA, It was found that more detailed and useful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formation could be grasped through the potential group classification, particularly for students in ‘intermediate’ or ‘basic’ achievement levels in NAEA. KCI Citation Count: 1
ISSN:1229-1544
2671-72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