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모-자 상호작용 행동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영유아의 최적의 사회적 발달에는 부모와 유아간의 긍정적인 관계 및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장애유아는 발달적 장애나 지체 때문에 양육자에게 상호작용을 위한 단서를 명확히 보여주지 못하며, 장애유아의 부모는 그러한 자녀의 발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이 쉽지 않고 방법적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모-자간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사회적 발달 문제가 있는 장애유아와 그 부모들은 상호교류 모델에 입각하여 Sameroff(1987)가 제시한 조기중재의 3R, 즉 아동의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교정)과 아동 발달 특히,...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pp. 73 - 9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아동학회
01.10.200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1688 2234-408X |
Cover
Summary: | 영유아의 최적의 사회적 발달에는 부모와 유아간의 긍정적인 관계 및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장애유아는 발달적 장애나 지체 때문에 양육자에게 상호작용을 위한 단서를 명확히 보여주지 못하며, 장애유아의 부모는 그러한 자녀의 발달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이 쉽지 않고 방법적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모-자간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사회적 발달 문제가 있는 장애유아와 그 부모들은 상호교류 모델에 입각하여 Sameroff(1987)가 제시한 조기중재의 3R, 즉 아동의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교정)과 아동 발달 특히, 사회적 행동 발달에 대한 부모의 새로운 지각과 태도의 형성(재정의) 및 부모 양육방식과 행동의 변화(재교육)를 모두 중재의 목표(target)로 하는 모-자 상호작용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한편, 모-자 상호작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는 프로그램 운영 방법이나 전략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양육자와 자녀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촉진되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으로 상호작용 지도(interactive coaching)(Field, 1982) 전략이 있다. 이것은 수정해야 하는 상호작용 형태를 가르쳐주고, 실제로 어떻게 하는지 중재자가 보여주며, 상호작용 장면에서 양육자가 행동을 수정하는 것을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이 전략을 보다 간접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어머니가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비디오로 녹화하고 이 자료를 활용하여 지도하는 방법이 있다. 양육자와 함께 녹화 테이프를 점검함으로써 중재자는 긍정적인 양육행동과 아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간의 관계에 대해서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양육자들에게 어떻게 상호작용을 수정하고 아동의 상호작용적인 신호를 해석해야 하는지를 보여 줄 수 있을 때 유용하다(이소현 역, 1995). 우리나라에서 부모와 유아와의 상호작용 장면을 비디오 녹화하여 피드백을 한 연구(김정미, 2001; 박랑규, 1999; 임숙빈, 1997)에서는 비디오를 보면서 스스로 자신을 평가해보고, 연구자의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어머니들이 자신의 행동유형을 스스로 인식하도록 돕고, 바람직한 상호작용 유형의 모델을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 즉, 비디오 피드백은 부모가 자신의 행동에 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므로 행동변화를 필요로 하는 교육에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Guidry, Pol, Keeley, & Neilson, 1996).이에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사회적 발달에 지체를 보이는 유아를 둔 적절한 모-자 상호작용 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상호교류 모델의 3R에 기초하여 모-자 상호작용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모-자 상호작용 중재 프로그램은 유아의 바람직한 사회적 발달에 장기적인 목적을 두고 바람직한 모-자 상호작용 행동의 증진을 단기적인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발달에 대한 부모의 지각과 태도 및 부모 양육방식의 변화를 구체적인 중재 목표로 하되, 교육활동으로 비디오 피드백 전략에 중점- 76 -을 두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모-자 상호작용 행동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회적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어머니 행동 평정척도에 의한 모-자 상호작용 행동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모-자 상호작용 행동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회적 발달지체유아 어 ...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elayed young children. The program consisted of three main activities, lectures for good parenting, video-feedback of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consultation for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4 mothers of 5-6 years 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were referred to a social competence program of a child counseling center. The mothers were identified to have problematic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through clinical interviews. The program ran for 16 sessions, one parent group leader implemented each session for 90-120 minutes once a week. The videotaped data of mother-child interactions for 10 minutes every 4 sessions were estimated by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MBRS) and qualitatively analyzed by transcription of communica- 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It conclud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enhanced mother-child interaction behaviors. KCI Citation Count: 8 |
---|---|
Bibliography: | G704-000080.2004.25.5.004 |
ISSN: | 1226-1688 2234-40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