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남부 금오산 화산암류의 성인과 진화
구미분지는 영남육괴의 남동 중간부에 있으며 백악기의 구미층와 금오산 화산암류로 구성된다, 금오산 화산암류는 하부로부터 안산암질암류, 유문암질암류와 관입암류로 구분된다. 안산암질암류는 영암산응회암과 부상리안산암으로 구분되고, 유문암질암류는 오봉리응회암, 도선굴유문암과 금오산응회암으로 구분된다. 관입암류는 유문암질 환상암맥과 직선상암맥으로 구분된다. 금오산 화산암류는 주원소, 미량원소의 암석화학적 특성으로부터 이 화산암류의 조구조적 배경, 마그마 성인 및 진화를 고찰하였다. 이 화산암류는 TAS도에서 안산암-데사이트-유문암으로 분류된다...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7(2) pp. 123 - 13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구미분지는 영남육괴의 남동 중간부에 있으며 백악기의 구미층와 금오산 화산암류로 구성된다, 금오산 화산암류는 하부로부터 안산암질암류, 유문암질암류와 관입암류로 구분된다. 안산암질암류는 영암산응회암과 부상리안산암으로 구분되고, 유문암질암류는 오봉리응회암, 도선굴유문암과 금오산응회암으로 구분된다. 관입암류는 유문암질 환상암맥과 직선상암맥으로 구분된다. 금오산 화산암류는 주원소, 미량원소의 암석화학적 특성으로부터 이 화산암류의 조구조적 배경, 마그마 성인 및 진화를 고찰하였다. 이 화산암류는 TAS도에서 안산암-데사이트-유문암으로 분류된다. 암석화학적 변화는 대체로 분별결정작용에 의한 마그마 진화를 설명해줄수 있다. 암석화학적 특징은 대부분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하고 고-K 계열의 화산암류가 우세하다. 주원소와 미량원소 판별도에서 모두 섭입환경의 조산대를 지시하는 화산호 위치를 나타낸다. 이 화산암류의 성인은 하부지각에서 화성기원 각섬암의 부분용융에서 유래하였다. 선기 안산암질 및 후기 유문암질 마그마 간의 조성변화는하부 마그마챔버에서 분별결정작용에 의해 설명된다. 하부지각의 안산암질 마그마챔버에서 분별된 유문암질마그마는 밀도차이로 새로운 압력 조건으로 조정될 때 상승하여 상부지각의 유문암질 챔버에 머물다가 순차적으로 분출되었다. 즉 선기의 안산암질 마그마챔버는 하부지각에 머물렀고 후기의 유문암질 마그마챔버는 상부지각에 위치했을 것이다. The Gumi basin is located in the mid-southeast part of Yeongnam Massif, and consists of the Cretaceous Gumi Formation and Geumosan volcanic rocks, which is divided into andesitic rocks, rhyolitic rocks and intrusive rocks. The andesitic rocks are mapping into Yeongamsan Tuff and Busangni Andesite, while the rhyolitic rocks, into Obongni Tuff, Doseongul Rhyolite and Geumosan Tuff. The intrusive rocks are divided into rhyolitic ring and linear dikes. We have examined the petrotectonic setting, magmatic evolution from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and trace elements for the Geumosan volcanic rocks. The volcanic rocks are classified as andesite, dacite and rhyolite on TAS diagram. Petrochemical data suggest that the volcanic rocks are in calc-alkaline series and dominantly high-K series, and identified as volcanic arc setting that indicates orogenic suite of the Cretaceous subduction environment on the discriminant diagram. The volcanic rocks were derived from the partial melting of amphibolite of igneous origin in the lower crust. Compositional variation between earlier andesitic and later rhyolitic magmas is explained by fractional crystalization in lower magma chamber. The rhyolitic magma, fractionated from the andesitic magma chamber in the lower crust, rose when it was adjusted to the new pressure conditions due to density difference, stayed in the rhyolitc magma chamber in the upper crust and erupted sequentiall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4770/jgsk.2021.57.2.123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1.57.2.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