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기 수질오염부하 특성 및 기여율 분석: 충주댐 하류 남한강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최근 지속되는 봄철 가뭄으로 인한 유량감소와 오염물질 유입량 증가로 인해 충주댐 하류에 위치한 남한강 갈수기수질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본류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중점관리가 필요한 우심하천및 주요 오염원을 선별하고자 갈수기 오염부하 특성 및 남한강 본류에 대한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갈수기 조건에서의 오염부하 및 기여율은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기간 내 발생한 점․기저비점 오염부하가 남한강 본류에 미치는 기여율 또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pp. 247 - 257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01.06.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8.40.6.247 |
Cover
Loading…
Summary: | 최근 지속되는 봄철 가뭄으로 인한 유량감소와 오염물질 유입량 증가로 인해 충주댐 하류에 위치한 남한강 갈수기수질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본류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중점관리가 필요한 우심하천및 주요 오염원을 선별하고자 갈수기 오염부하 특성 및 남한강 본류에 대한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갈수기 조건에서의 오염부하 및 기여율은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기간 내 발생한 점․기저비점 오염부하가 남한강 본류에 미치는 기여율 또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국오염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수질항목에 대한 오염원별 전체 배출부하 또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지계, 생활계, 축산계 오염원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섬강을 중점적으로 점오염원 관리뿐만 아니라, 기저비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ater pollution in the South-Han River located downstream of Chungju Dam during dry season is getting worse due to the deteriorating water quality and reduced flow rates.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in the main streams inflow into the South-Han river and to evaluate its contribution to the water pollution in the river during dry season for selecting the priority major stream and pollution sources. the greatest pollutant loads and the contribution ratio to water pollution in the South-Han river were analyzed in the Seomgang. Also, the largest proportion of total pollutant loads occurred by the point source and baseflow during monitoring periods was also analyzed in the Seomga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Nationwide water pollution source survey showed that the total pollutant loads discharged from the Seomgang was the greatest, and the high proportion of pollution sources was found in the order of Landfill, Domestic, Livestock.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pollutant loads occurred by the point source and baseflow in the Seomgang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South-Han river during dry season. KCI Citation Count: 5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18.40.6.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