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향상을 위한 대학교양수업 음악‧미술 융합감상교육 제안
이 연구는 다원예술분야의 발달과 함께 요구되는 융합수업의 한 모델로서 음악과 미술을 연계한 효율적인 융합 교양과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복합 예술적 성격에 관한 수업방향은 대학수업 현장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교양과목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수업 방향이나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시도가 행해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음악미술의 감상체험 및 소통학습을 통해 단선적 감상수업을 탈피한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창의융합연구의 이론적 당위성을 밝힌 후, 연구방법으...
Saved in:
Published in | 기술경영, 6(1) pp. 143 - 15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01.03.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3772 2635-7623 |
DOI | 10.33443/tm.2021.6.1.143 |
Cover
Loading…
Summary: | 이 연구는 다원예술분야의 발달과 함께 요구되는 융합수업의 한 모델로서 음악과 미술을 연계한 효율적인 융합 교양과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복합 예술적 성격에 관한 수업방향은 대학수업 현장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교양과목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수업 방향이나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시도가 행해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음악미술의 감상체험 및 소통학습을 통해 단선적 감상수업을 탈피한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창의융합연구의 이론적 당위성을 밝힌 후, 연구방법으로 서울소재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음악, 미술 교양과목을 분석하여 단선적이고 획일적인 감상교육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심미적‧통합적 사고를 돕는 창의적 교과 유형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융합수업의 형태는 감상-토론-발표-평가 등의 수업설계를 통해 비평적 감상체험을 강조하고, 비평적 평가지 작성 방안을 수업설계 및 평가에 제시하였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로 재정난을 겪고 있는 대학이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사회 교육(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에까지 방법론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문화예술을 이해하고 확장된 창의성을 통해 예술체험에 대한 폭넓은 가능성을 개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model of convergence classes requir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lural arts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rich the university curriculum by efficiently combining music and fine art classes. The direction of classes on convergence art is actually being raised at the university class site. However, it is quite difficult to apply convergence research to actual classes because of the large variation in understanding art among students in liberal art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eaching the two subjects creatively by combining them reasonably, rather than teaching music and fine art classes in one direction.
To ensure the legitimacy of the study, this study explained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creative convergence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researchers analyzed the liberal arts courses of Fine Art and music classes taught by the top 20 universities in Seoul (2019-2020 valuation of JoongAng Ilbo and Chosun Ilbo). Through this, this study designed creative curriculum types that help students think self-directed, and emphasized the experience of critical appreciation among students through appreciation, discuss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Today, Korean universities are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previously proposed art convergence classes will help today's universities increase profits through community education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 through cultural arts, which will be another proposal to strengthen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universities. In particular, learners will not only understand cultural arts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have expanded creativity, but will also learn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for art experience.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www.ntri.net |
ISSN: | 2384-3772 2635-7623 |
DOI: | 10.33443/tm.2021.6.1.1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