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세포림프종 환자에서 혈청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 농도 증가와 임상병리학적 특징의 연관성
배경: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는 단구, 대식세포 및 골수내 전구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조절한다. M-CSF는 여러 악성종양 환자의 혈청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B세포림프종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의 혈청 M-CSF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B세포림프종 환자들의 혈청 M-CSF 농도와 임상 및 병리학적 특징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하였다. 방법: B세포림프종 환자 101명의 초진 시의 혈청 검체와 건강대조군 48명의 혈청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B...
Saved in:
Published in | Laboratory Medicine Online, 11(2) pp. 101 - 105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01.04.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6338 |
DOI | 10.47429/lmo.2021.11.2.101 |
Cover
Summary: | 배경: 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는 단구, 대식세포 및 골수내 전구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조절한다. M-CSF는 여러 악성종양 환자의 혈청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B세포림프종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의 혈청 M-CSF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B세포림프종 환자들의 혈청 M-CSF 농도와 임상 및 병리학적 특징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하였다.
방법: B세포림프종 환자 101명의 초진 시의 혈청 검체와 건강대조군 48명의 혈청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B세포림프종의 병기설정은 Lugano 분류를 따랐다. Quantikine ELISA Human M-CSF Immunoassay (R&D Systems, Inc., USA)를 사용하여 혈청 M-CSF 농도를 측정하였다. 건강대조군의 혈청 M-CSF의 95 백분위수에 따른 참고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임상 및 병리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결과: 건강대조군의 혈청 M-CSF의 95 백분위수에 따른 범위는 48.8-173.0 pg/mL였다. B세포림프종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의 혈청 M-CSF 수치 비교에서 평균±표준편차는 각각 293.3±270.9 pg/mL와 97.3±34.6 pg/mL로 나타났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B세포림프종 환자 중 60세를 초과한 연령군(P =0.027), 광범위큰B세포림프종 환자군(P =0.046), 진행병기의 환자군(P<0.001), 비정상 유리경쇄비를 가진 환자군(P =0.036),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국제예후지표 점수의 환자군(P<0.001), 참고범위보다 높은 젖산탈수소효소 수치의 환자군(P =0.002)에서 혈청 M-CSF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B세포림프종 환자에서 혈청 M-CSF 농도의 증가는 불량한 예후를 반영하는 임상 및 병리학적 지표들과 연관성을 나타내어 B세포림프종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Background: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 regulates the proliferation and supports the viability of monocytes, macrophages, and their bone marrow progenitors. M-CSF is found in high concentrations in the serum of patients with various malignanc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levels of M-CSF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a B-cell lymphoma patient group.
Methods: Data of 101 patients with B-cell lymphoma and 48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evaluated. Staging for B-cell lymphoma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ugano criteria. Serum M-CSF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Quantikine ELISA Human M-CSF Immunoassay (R&D Systems, Inc., USA). We established a 95th percentile reference interval in healthy controls and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95th percentile of the serum M-CSF in healthy controls was 48.8–173.0 pg/mL. The mean serum M-CSF level in the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293.3±270.9 pg/mL vs. 97.3±34.6 pg/mL, P <0.001). The mean M-CSF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aged >60 years (P =0.027), and those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s (P =0.046), advanced stages (P <0.001), abnormal free light chain ratios (P =0.036), high-risk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scores (P <0.001), and lactate dehydrogenase above the reference range (P =0.002).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elevated serum M-CSF levels have an association with advers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B-cell lymphoma patients and may be a potential prognostic predictor.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47429/lmo.2021.11.2.101 |
ISSN: | 2093-6338 |
DOI: | 10.47429/lmo.2021.11.2.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