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교사 평가 전문성 기준과 측정도구 분석
학습 결과의 평가를 넘어 교수와 학습의 연결고리로서의 평가가 강조됨에 따라 평가의 질에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교사 평가 전문성기준과 측정도구 24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 목적, 평가 상황, 평가 측면, 측정 척도의특성으로 평가 전문성의 내용과 발달을 분석하였다. 평가 전문성 기준과 측정도구에 나타난 평가전문성의 내용은 평가 목적과 상황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고, 평가 과정과 관련된지식과 기능에 대한 것이 많았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으로 평가 전문...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pp. 173 - 20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학습 결과의 평가를 넘어 교수와 학습의 연결고리로서의 평가가 강조됨에 따라 평가의 질에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교사 평가 전문성기준과 측정도구 24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 목적, 평가 상황, 평가 측면, 측정 척도의특성으로 평가 전문성의 내용과 발달을 분석하였다. 평가 전문성 기준과 측정도구에 나타난 평가전문성의 내용은 평가 목적과 상황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고, 평가 과정과 관련된지식과 기능에 대한 것이 많았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으로 평가 전문성 측정도구에서는형성평가를 목적으로 한 문항과 교실문화, 협력에 관한 문항의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대부분의평가 전문성 측정도구는 리커트 척도의 평균으로 전문성 수준과 발달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하였으나교사가 평가 전문성의 각 요소를 어떻게 발달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에 한계가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에게 필요한 평가 전문성의 내용과 발달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을제안하였다. Recently, interests to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which influence to quality of the assessment, have been increased as assessment has been emphasized as the bridge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24 standards and instruments of teacher assessment literacy in Korea were analyzed by a framework of four identified classifications: purpose of assessment; contexts of assessment; aspect of assessment; scale of assessment literacy instruments. Most of the standards and instruments were not specified by purpose and contexts.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assessment processes were revealed the most.
However, proportion of item related to formative assessment, classroom culture, and collaboration in instruments of assessment literacy were somewhat increased under the influence of curriculum revision. Development of assessment literacy was analyzed by scale of assessment literacy instruments. As result of that, most of the instruments could measure the level of literacy and development quantitatively through average of Likert-type scale. However, the result had limit to suggest direction to teachers to develop assessment literacy. The result of study would suggest implication in terms of aspect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literacy for teachers who implement assessment.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9-1544 2671-72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