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이 조직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은 신규 간호사에게 간호업무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으로부터 신규 간호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간호조직문화가의 확립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총 180명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규...
Saved in:
Published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pp. 130 - 14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간호행정학회
01.03.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330 2288-4955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이 조직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은 신규 간호사에게 간호업무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으로부터 신규 간호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간호조직문화가의 확립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총 180명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규 간호사가 경험하는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의 전체 평균은 1.75±0.55점 이었다. 신규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언어적 폭력피해경험(r=-0.32, p<.001), 신체적 위협피해경험(r=-0.26, p<.001), 전체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r=-0.28, p<.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규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언어적 폭력피해경험(r=0.18, p=.016), 신체적 위협피해경험(r=0.17, p=.024), 전체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r=0.17, p=.02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규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 중 언어적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9.5%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신규 간호사를 위한 직장 내 폭력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직장 내 폭력에 대처하기 위한 절차와 보고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상호 존중하는 협력 문화와 비폭력 업무 환경을 확대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of new nurses and to investigate effects on organizational variables.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can lead to new nurses developing negative attitudes towards nursing jobs. A safe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new nurses can work while being protected from workplace violence must be established.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80 nur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 for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of new nurses was 1.75±0.5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verbal (r=-0.32, p<.001), threatening (r=-0.26, p<.001), and total (r=-0.28, p<.001)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erbal (r=0.18, p=.016), threatening (r=0.17, p=.024), total (r=0.17, p=.021) and turnover intention, respectively. Verbal violence experienc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9.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new nurses and a procedure and reporting system to cope with workplace violenc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a culture of mutual cooperation and a nonviolent atmosphere.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5-9330 2288-49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