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대 여성 정신병의 재현과 히스테리 : 젠더권력으로서의 의학지식과 성애화된 ‘내면’

이 글은 1962년 한국일보 현상모집에 당선된 장편소설 『회전목마』를 대상으로 60년대 여성 정신병이 문학작품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당대 의학지식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의학지식의 체계화와 대중화로 정신병에 대한담론이 확장되었던 60년대 작품에 역동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일제 식민지기 우생학, 그리고 가부장이데올로기가 여성을 어떻게 중첩적으로 규율하고 단속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여성은 공동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과잉 성애화 되고 정신병을 가진 여성들은 초자아에 의해 관리되지 못한 미성숙한 아노미로 재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여성문학연구, 0(51) pp. 221 - 250
Main Author 송인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여성문학학회 0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0..51.2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글은 1962년 한국일보 현상모집에 당선된 장편소설 『회전목마』를 대상으로 60년대 여성 정신병이 문학작품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당대 의학지식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의학지식의 체계화와 대중화로 정신병에 대한담론이 확장되었던 60년대 작품에 역동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일제 식민지기 우생학, 그리고 가부장이데올로기가 여성을 어떻게 중첩적으로 규율하고 단속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여성은 공동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과잉 성애화 되고 정신병을 가진 여성들은 초자아에 의해 관리되지 못한 미성숙한 아노미로 재현된다. 또한 정신병을 세대를 통해 유전되는 죄로 규정함으로써 우생학적 처벌의 필연성을 강조한다. 여성이 60년대 기초 공동체인 가족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으로 재현된 것으로 일제 시기 우생학과 최신 서구 의학지식인 정신분석이 이중으로 개입하여 여성을 억압한다. 나아가 여성 정신병의 원인과 구제 방식에서도 정신분석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여성을 공격한다. 정신병의 원인을 금기를 어긴 사촌과의 사랑 때문인 것으로 제시하고 문제의 초점을 병리적 질병이 아닌 부계 윤리의 파계에 맞춤으로써 전통과 집단의 질서를 이탈한 죄를 정신병의 응징이라는 방식으로 여성에게 전가한다. 낭만적 사랑에 의해 아버지를 배반하고 개인적 사랑과 결혼을 실행한 아들의 죄의식이 작동한 것으로 죄의 원인을 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여성의 정체성은 과잉 에로스화 된다. 정신분석학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되어 유혹하는 에로스로 여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성차별은 구제 방식에서도 확인된다. 여성이 자살, 살해, 병사로 죽거나 수녀원에 스스로를 가두는 자아 부정을 통해 생명을 보존하는 것과달리 남성은 죄의식을 적절하게 억압하고 승화시킴으로써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고뇌하는 지성으로 나타난다. 남성은 리비도를 관리하는 성숙한 문화적 창조자로, 여성은 가족 공동체를 위협하는 에로스 과잉의 미성숙한 아노미적 존재로 재현된다. 미성숙하고 성애로 채워진 여성의 내면은 언제든 공동체를 위협하는감시와 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 정신의학은 가부장이데올로기, 우생학 등과 중첩적으로 결합하여 젠더화된 과학/지식으로 체계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women’s mental illness in the 60s is represented in literary works in relation to contemporary medical knowledge with the subject of the novel 『Carousel』, which was elected by the Hankook Ilbo in 1962. This is to find out how psychoanalysis as dynamic psychiatry,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patriarchal theology superimposedly regulated and regulated women in the work of the 60s, when the discourse on psychosis was expanded due to the system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psychiatric knowledge. In the work, women are overly sexualized as a threat to the community, and women with mental illness are re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that are not managed by the superego.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ugenic punishment by defining psychosis as a sin inherited through generations. The inner part of women was recreated as an object of fear that threatened the family, the basic communit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n the 1960s.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sychoanalysis, the latest Western medical knowledge, intervened in a double way to suppress women. Furthermore, in the cause and remedy of female psychosis, psychoanalysis attacks women in combination with patriarchal theology. By presenting the cause of psychosis as a result of love with a cousin who violated the taboo and focusing the problem on the breakdown of paternal ethics, not pathological disease, the sin of deviating from the tradition and group order is transferred to women in the manner of retribution of psychosis. The son’s sense of guilt, who betrayed the voice of the father and practiced personal love and marriage, is at work, and by transferring the cause of the sin to the woman, the identity of a woman is defined as excess eros. Psychoanalysis is combined with patriarchal theology to sexualize as an eros that seduces women, and this gender discrimina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salvation method.Unlike women who only preserve life through suicide, murder, death of a soldier, or self-denial that confines themselves in a convent, men are suggested to create culture and art by appropriately suppressing and sublimating guilt. Through this, men are presented as mature cultural creators who manage libido, and women are 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of excess eros that threaten the family community. The immature, sexually filled woman’s interior is always subject to surveillance and punishment threatening the community.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0..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