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색조화장품의 소비 성향 연구

색조화장품의 평생 사용이 예상됨에 따라서 남성 색조화장품의 연령별 구매 특성과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카이제곱검정(χ2 )을 실시,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색조화장품의 사용 이유는 30-40대는 '자기관리'적 측면에 의미를 두는 반면에 20대는 '자기만족과 자신감'에 의미를 두었다. 가장 관심 있는 색조화장품은 피부 톤에 관한 제품들이었으며, 화장품의 정보를 얻는 곳은 인터넷과 모바일이지만 실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8(4) pp. 533 - 547
Main Author 안진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20.007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색조화장품의 평생 사용이 예상됨에 따라서 남성 색조화장품의 연령별 구매 특성과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카이제곱검정(χ2 )을 실시,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색조화장품의 사용 이유는 30-40대는 '자기관리'적 측면에 의미를 두는 반면에 20대는 '자기만족과 자신감'에 의미를 두었다. 가장 관심 있는 색조화장품은 피부 톤에 관한 제품들이었으며, 화장품의 정보를 얻는 곳은 인터넷과 모바일이지만 실제 구매를 할 때는 각 연령대 모두 화장품 매장을 이용하는 남성들이 더 많았다. 결론: 전략적으로 남성화장품의 개발을 위해 연령별에 맞춘 상품구성, 맞춤형 색조화장품의 상품 개발, 남성전용 피부 톤을 보완해주는 베이스 화장품 개발, 판매직원들의 정확한 사용안내 등의 마케팅 전략이 이어져야 한다. Purpose: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among men in using color cosmetics to manage their appearance and/or improve their self-confidence.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and use of men's color cosmetics according to ag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a chi-square 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5%, while the SPSSWIN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Results: The reason for the use of color cosmetics is that men in their 30s and 40s tend to place greater meaning on “selfmanagement,” while those in their 20s generally emphasize “self-satisfaction and confidence.”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focus included products related to skin tone and how to obtain information on such products (e.g., through the Internet or mobile phones). However, when they actually made purchases, all of the age groups used cosmetics stores. As for specific products, 37.6% purchased sunscreen, 24.7% purchased BB/CC cream and lip balm, 3.9% purchased eyebrow pencils, and 3.7% purchased cushion-type product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sunscreen and skin-correcting products, i.e., functional cosmetics, had the largest sales volume across all age groups. Moreover, product composition should be tailored to each age group, while product development of customized color cosmetics, the development of base cosmetics that complement men's skin tone, and accurate sales and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usage guidance, should be followed.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dx.doi.org/10.20402/ajbc.2020.0072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20.0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