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구역에서의 액상형 전자 담배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태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전자 담배 도입시기부터 일단 담배와 동일한 법을 적용하여 실내 금연 구역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담배 보다 몰래 사용하기 쉬운 전자 담배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것이 실제로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자 담배 사용자 및 전자 담배 몰래 사용 경험자들의 기본 인구학적 특성과 몰래 사용의 빈도, 다른 종류의 담배와의 중복 사용 행태를 파악하고, 금연 구역에 대한 인식과 전자 담배 몰래 사용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금연학회지, 11(2) pp. 75 - 8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금연학회
01.1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20.11.2.75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전자 담배 도입시기부터 일단 담배와 동일한 법을 적용하여 실내 금연 구역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담배 보다 몰래 사용하기 쉬운 전자 담배의 특성을 고려하면 이것이 실제로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자 담배 사용자 및 전자 담배 몰래 사용 경험자들의 기본 인구학적 특성과 몰래 사용의 빈도, 다른 종류의 담배와의 중복 사용 행태를 파악하고, 금연 구역에 대한 인식과 전자 담배 몰래 사용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보건조사 등의 질문을 참고하여 자체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11월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 동안 20-69세 성인 7,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금연구역에서의 전자 담배 사용 경험, 실내 금연구역에서의 전자 담배 사용에 대한 인식, 세 가지 담배의 중복 사용자를 변수로 금연 구역에서의 전자담배 사용 경험 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카이 제곱 분석과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자 담배 몰래 사용자 중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많았고([OR] 1.79, 95% CI 1.02-3.14), 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그룹에 비교하여 300만원 이상 500만원 이상인 그룹에서 몰래 사용이 ([OR] 2.13, 95% CI 1.18-3.86) 높았다. 전자 담배의 몰래 사용은 금연 구역에 대한 인식이 없는 그룹에서 높았으며([OR] 2.97, 95% CI 1.69-5.22)로 높았으며, 전자 담배 단독 사용자 보다 삼중 사용자에서 교차비가 2.78 (95% CI 1.38-5.48)로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전자 담배 사용자의 대부분이 몰래 사용을 하고 있다는 것과, 전자 담배 사용자중 반 이상이 삼중 사용자이며, 삼중 사용자에서, 금연 구역에 대한 인식이 없는 경우에 몰래 사용이 더 흔함을 보여주고 있다. 전자 담배는 완전히 무해한 증기가 아니므로 간접 흡연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몰래 사용 예방을 위해 실내 금연 구역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몰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 마련과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Background: Electronic cigarettes (ECs) were introduced in South Korea in 2008. ECs are devices that vaporize a solution that the user then inhales unlike combustible cigarettes (CCs) where tobacco leaves are burnt. Therefore, stealth use of ECs could be easier than stealth use of CCs since they produce less odor and smok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 of EC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trend.
Methods: The online panel survey was conducted on 7,000 adults (males 2,300; females 4,700; age, 20-69 years) from November 3, 2018 to November 9, 2018. Females were oversampled given the very low prevalence of tobacco use among women in Korea. Furthermor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stealth use of ECs, adjusted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notion for using ECs in indoor public places.
Results: In Korea, 83.5% of smokers experienced stealth use of ECs in areas where smoking was prohibited. The online survey shows that users of triple tobacco products including CCs, ECs, and heated tobacco products are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stealth use than EC single users (OR 2.75, 95% CI 1.48-5.48). In addition, people who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of whether ECs are allowed in the non-smoking area are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the stealth use of ECs than those who answered “No” or “I don’t know” (OR 2.97, 95% CI 1.69-5.22).
Conclusion: Stealth use is common among EC users, especially triple users and those who are not aware of the EC use are also prohibited in indoor public places.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162&&vmd=Full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20.11.2.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