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흡연자에서 전자 담배 사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_청소년 건강행태 조사자료
배경: 청소년 사이에서 흡연율이 감소하면서 전자담배 사용도 같이 감소하고 있지만 청소년 흡연자에서 전자담배의 복합사용의 변화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청소년 흡연자의 어떤 요인이 복합사용과 연관되어 있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청소년에서 일반담배와 전자담배의 복합담배 사용률의 변화를 보고 청소년 흡연자에서 복합사용에 연관된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시행한 ‘제12-14차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흡연율, 전자담배 사용률,...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금연학회지, 11(2) pp. 64 - 7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금연학회
01.1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20.11.2.64 |
Cover
Summary: | 배경: 청소년 사이에서 흡연율이 감소하면서 전자담배 사용도 같이 감소하고 있지만 청소년 흡연자에서 전자담배의 복합사용의 변화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청소년 흡연자의 어떤 요인이 복합사용과 연관되어 있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청소년에서 일반담배와 전자담배의 복합담배 사용률의 변화를 보고 청소년 흡연자에서 복합사용에 연관된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시행한 ‘제12-14차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흡연율, 전자담배 사용률, 복합사용자 비율을 구하였다. 2016년, 2017년 자료 중 7,781명의 흡연자에서 사회경제적 요인, 음주, 운동 등 건강행태 및 흡연량, 금연교육, 전자담배 사용의 이유 불법 약물 사용 등과 복합사용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2016년에서 2018년까지 청소년 남학생에서 일반담배 흡연율의 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9.64%→9.39%) 복합담배 사용은 2.94%에서 3.32%로 증가하여 흡연자에서 복합사용의 비율은 30.4%에서 35.4%로 증가하였다. 다변량 분석 결과 불법 약물 사용 경험이 있는 경우 약물 사용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복합사용의 위험이 높았고(남학생 aOR 2.05, 95%CI: 1.50-2.80, 여학생 aOR 5.03, 95%CI: 1.50-2.80), 흡연량도 복합사용과 연관성을 보였다. 청소년 남학생에서 음주, 우울감이 복합사용과 연관성이 높은 요인이었다.
결론: 2016년 이후 청소년에서 복합담배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 흡연자에서 복합사용과 연관성이 높은 요인은 많은 흡연량과 불법 약물 경험 등으로 이들의 전자담배 사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The dual use of combustible and electronic cigarettes is gaining popularity among adolescent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ir dual u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trend of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dual users and to investigate associated factors with the dual use.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16-2018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frequency of smoking, electronic cigarette use, and dual use was assessed among students aged between 13 and 18 years old. Using the date between 2016 and 2017,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associated factors related to the dual use among 7,781 current smokers.
Results: The dual use of both combustible and e-cigarettes was increased from 2.94% in 2016 to 3.32% in 2018 although smoking prevalence was at a steady state in male students. The dual user proportion of male current smokers was changed from 30.4% in 2016 to 35.4% in 2018. Those who had experienced illegal drug use are more likely to be dual user of conventional tobacco and electronic cigarette than those who did not experienced illegal drug use (aOR 2.05, 95% CI 1.50-2.80 in male; aOR 5.03, 95% CI 1.50-2.80 in female). Smoking amount was an important associated factor of dual use among adolescents, while alcohol drinking and depressive mood were important factors of dual use in male adolescent only.
Conclusion: The dual use of both conventional and electronic cigarettes has been an increasing prevalence among adolescents after 2016, with several important factors such as illegal drug use and smoking amount.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161&&vmd=Full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20.11.2.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