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설계된 골반 벨트 보조기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이동에 미치는 영향

[배경] 뇌졸중 후 운동 능력 회복은 재활의 주요 목표이다. 낙상은 종종 뇌졸중 후 발생한다. 고관절 보조기는 안전과 보행을 개선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만 뇌졸중 후 낙상 감소에 사용되는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설계된 골반 벨트 보조기가 뇌졸중 후 편마비가 있는 성인의 보행 능력과 동적인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참가자 및 방법]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 22 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GAITRite 시스템은 시공간 변수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균형 시스템 SD는 동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통합의학회지, 8(4) pp. 125 - 131
Main Authors 조병모, Neda Zarayeneh, Suh Sang C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통합의학회 0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1174
2383-9651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뇌졸중 후 운동 능력 회복은 재활의 주요 목표이다. 낙상은 종종 뇌졸중 후 발생한다. 고관절 보조기는 안전과 보행을 개선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만 뇌졸중 후 낙상 감소에 사용되는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설계된 골반 벨트 보조기가 뇌졸중 후 편마비가 있는 성인의 보행 능력과 동적인 균형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참가자 및 방법]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 22 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GAITRite 시스템은 시공간 변수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균형 시스템 SD는 동적 균형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R 버전 3.3.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랜덤 포레스트, 부스팅 알고리즘 및 MANOVA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결과] 독립 변수 "그룹"은 가장 중요한 변수였고, 두 번째로 중요한 예측 변수 "높이"보다 3배 높았고 그 값은 약 25.42(% IncMSE)였다. [결론]이 연구의 결과, 골반벨트 보조기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보행 능력과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결론으로 ​​가설이 검증되었다. [Background] The Regaining locomotor ability is a primary goal in post-stroke rehabilitation. Falls are commonly reported post-stroke. Hip orthosis(HOs) are often provided to improve safety and walking, but the effect of their use in the reduction of falls post-stroke is unknow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ewly designed pelvic belt orthosis can improve gait ability and dynamic balance of adults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Participants and Methods] 22 patients who had hemiparesis after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GAITRite system was used to measure spatial-temporal gain parameters and the balance system SD to measure dynamic bala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R version 3.3.1. Random forest, boosting algorithm, and MANOVA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 "group" has the most important value, which is approximately 25.42 (%IncMSE) representing a value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second important predictor "height."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hypothesis is validated with conclusion that Pelvic Belt orthosis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improving gait ability and balance of the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1174
2383-9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