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옵션의 크기가 구매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과 해석수준에 따른 정보처리과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제품유형에 따른 메시지 유형, 시간적 거리감,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옵션의 크기에 대한 수준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분석방법에는 t-test, ANOVA, Chi-square test가 사용되었다. 실험 1은 제품유형에 따른 메시지 유형과 제품옵션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실험 2는 제품유형에 따른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옵션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실험 3은 제품유형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과 제품옵션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에서 쾌락적 제품에 대한 상위수...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8) pp. 1507 - 151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8.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0.21.8.150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제품유형에 따른 메시지 유형, 시간적 거리감,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옵션의 크기에 대한 수준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분석방법에는 t-test, ANOVA, Chi-square test가 사용되었다. 실험 1은 제품유형에 따른 메시지 유형과 제품옵션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실험 2는 제품유형에 따른 시간적 거리감과 제품옵션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실험 3은 제품유형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과 제품옵션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에서 쾌락적 제품에 대한 상위수준상황이 제시되었을 경우에는 제품옵션의 크기가 작은 것을, 실용적 제품에 대한 하위수준상황이 제시되었을 경우에는 제품옵션의 크기가 큰 것을 선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number of product options that consumers prefer according to a product’s message type, tempor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three experiments, and used the t-test, ANOVA, and Chi-square test for data analysis. The first experiment examined message type and product option variety according to product type, the second experiment reviewed temporal distance and product option variety according to product type, and the third experiment looked at social distance and product option variety according to product type. Results found that in all experiments, consumers preferred a small number of product options in hedonic goods when the messages were abstract and the temporal and social distances were long. In contrast, consumers preferred a large number of product options in utilitarian goods when the messages were more in detail and the temporal and social distances were short.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0.21.8.1507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0.21.8.1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