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만성 콩팥병에서 나타나는 심혈관계 질환

만성 콩팥병의 장기 예후를 결정하는 요인 중 심혈관계합병증의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아 환자의 경우 전형적인 증상 발현이 적어 그 임상적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과 같은 전통적인 위험 인자와 빈혈,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산화 스트레스, 염증과 같은 새로운 위험 인자 등이 알려져 있다. 소아 만성 콩팥병의 경우 주로 좌심실 비대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증가 및 관상동맥의 석회화 같이 대부분 겉으로드러나지 않는 증상이므로 위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ldhood kidney diseases pp. 7 - 12
Main Author 조민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아신장학회 01.04.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242
2384-025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만성 콩팥병의 장기 예후를 결정하는 요인 중 심혈관계합병증의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아 환자의 경우 전형적인 증상 발현이 적어 그 임상적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과 같은 전통적인 위험 인자와 빈혈,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산화 스트레스, 염증과 같은 새로운 위험 인자 등이 알려져 있다. 소아 만성 콩팥병의 경우 주로 좌심실 비대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증가 및 관상동맥의 석회화 같이 대부분 겉으로드러나지 않는 증상이므로 위험 인자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다. Cardiovascular disease (CVD)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long-term prognosis of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However, in pediatric CKD, the clinical importance of CVD tends to be overlooked due to the lack of typical manifestations of CVD in this population. The literature has identified several traditional risk factors of CVD that originate from CKD, including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and obesity, in addition to new and non-traditional risk factors including anemia,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cases of pediatric CKD, cardiovascular disease is usually restricted to subclinical manifestations such as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thickening of intimal media on the carotid artery and calcification of the coronary artery. Therefore, risk factors of CVD in pediatric CKD patients should be closely monitor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576.2014.18.1.001
ISSN:2384-0242
2384-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