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및시스템 구현
제조업 근로자는 근무 환경에서 반복 작업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는 신체를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직업 특성상의 문제에 기인한다. 하지만 현재 감시 및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매년 위험에 대한 근로자의 노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U 센서를 사용한 웨어러블 장치 제작을 통해 실제 작업 환경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웨어러블 형태의 장치를 착용 후, 근골격계 움직임에 따른 회전 값을 받아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해낸다. 이때,...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13(3) pp. 267 - 27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01.06.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081X 2288-9302 |
Cover
Summary: | 제조업 근로자는 근무 환경에서 반복 작업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는 신체를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직업 특성상의 문제에 기인한다. 하지만 현재 감시 및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매년 위험에 대한 근로자의 노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U 센서를 사용한 웨어러블 장치 제작을 통해 실제 작업 환경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웨어러블 형태의 장치를 착용 후, 근골격계 움직임에 따른 회전 값을 받아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해낸다. 이때, 바이어스 제거와 누적 오차를 제거해 정교한 데이터 취득하여 이를 동적 임곗값 형식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회전 운동 횟수를 측정해내어 위험도를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 팔꿈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회전 횟수를 측정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본 방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Manufacturing workers are easily exposed to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caused by repetitive tasks in their working environment. This is due to problems wi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at repeatedly use the body. However, the current lack of monitoring systems for monitoring and prevention has led to an increase in workers' exposure to risks each year. This paper presents how to solve these problems in real working environment by producing wearable devices using IMU sensors. After wearing a wearable type device, the user's movement is judged through data analysis by receiving the rotation value according to musculoskeletal movement. At this time, the risk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user by eliminating bias and eliminating cumulative error, acquiring sophisticated data, and analyzing it in the form of dynamic threshold values. Using the wearable device propose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this method could be checked through a web page measuring the number of rotations for elbow musculoskeletal disorder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05-081X 2288-9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