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운동과 복합운동이 비만 청소년의 신체조성과 심혈관계 질환 관련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걷기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이 있는 Cytokine IL-6, CRP, Resistin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걷기운동은 주 4-5회, 1-5주까지는 45-60%HRmax, 6-12주까지는 61-70%HRmax의 운동강도로 주기별 점증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저항운동으로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최대근력(1RM)의 60-70%로 반복횟수 10-12회, 3세트로 20분간 실시하였다. 걷기운동집단과 복합운동집단 모두 체중, 체지방률, BMI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
Saved in:
Published in | Exercise science (Seoul, Korea) pp. 31 - 4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운동생리학회
01.02.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1726 2384-0544 |
DOI | 10.15857/ksep.2012.21.1.31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걷기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이 있는 Cytokine IL-6, CRP, Resistin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걷기운동은 주 4-5회, 1-5주까지는 45-60%HRmax, 6-12주까지는 61-70%HRmax의 운동강도로 주기별 점증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저항운동으로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최대근력(1RM)의 60-70%로 반복횟수 10-12회, 3세트로 20분간 실시하였다. 걷기운동집단과 복합운동집단 모두 체중, 체지방률, BMI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나 감소폭은 복합운동집단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IL-6 농도의 변화에서는 복합운동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5), 걷기운동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감소가 나타났다. CRP 농도의 변화에서는 걷기운동집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복합운동집단은 걷기운동집단보다 더욱 큰 차이를 나타내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Resistin 농도의 변화에서는 복합운동집단의 경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하지만 걷기운동집단의 경우는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심혈관 질환 관련 Cytokine IL-6, CRP, Resistin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규칙적인 복합운동이 비만 청소년들의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위험도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The walking exercise group performed walking program on a treadmill, 4-5 times a week (1-5 weeks; at the intensity of 45-60% HRmax, 6-12 weeks ; at the intensity of 61-70% HRmax),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performed weight training in 20min (intensity; 1RM 60-70%, repetition; 10-12 per a set, 3 se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body compositions such as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body mass index (BMI) in both the combined exercise group and the walking exercise group. but the drop rate of the combined exercise group was larger. The changes of IL-6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were decreased after 12 weeks of exercise (p<.05), the walking exercise group was decreased but this group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al. The changes of CRP in the walking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welve weeks of exercise (p<.05), the combined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drop rate of the changes of CRP is larger than those of the walking exercise group (p<.01). The changes of Resistin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5), but there was no special change in the walking exercise group. Consequently,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L-6, CRP, Resistin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that is to say, the regular combined exercise improve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so that it will make a great benefit on health for a lifetime. KCI Citation Count: 31 |
---|---|
Bibliography: | G704-000712.2012.21.1.001 |
ISSN: | 1226-1726 2384-0544 |
DOI: | 10.15857/ksep.2012.21.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