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마 유치환의 ‘고독’과 ‘生命’에의 熱愛
청마 유치환은 평생을 시인으로 살았을 뿐만 아니라, 사회비평가, 교육자로서 활동했다. 본고에서는 그의 ‘시쓰기’가 이러한 여러 활동 가운데에서도 핵심적인 것이었다고 보고, 그 의미와 지향하는 바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의 시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테마들, 즉 ‘사회’, ‘고독’, ‘자연’, ‘생명’ 등의 핵심어들이 이루고 있는 의미론적 구조를 검토하였다. 물론 자연과 사회의 대립, 공동체와 개인의 갈등, 개인적 고립에서 생명의 환희로의 재생구조와 같은 테마들은 문학에서 보편적인 주제들에 해당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청마...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시학연구, 0(22) pp. 127 - 15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시학회
01.08.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22.200808.006 |
Cover
Summary: | 청마 유치환은 평생을 시인으로 살았을 뿐만 아니라, 사회비평가, 교육자로서 활동했다. 본고에서는 그의 ‘시쓰기’가 이러한 여러 활동 가운데에서도 핵심적인 것이었다고 보고, 그 의미와 지향하는 바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의 시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테마들, 즉 ‘사회’, ‘고독’, ‘자연’, ‘생명’ 등의 핵심어들이 이루고 있는 의미론적 구조를 검토하였다. 물론 자연과 사회의 대립, 공동체와 개인의 갈등, 개인적 고립에서 생명의 환희로의 재생구조와 같은 테마들은 문학에서 보편적인 주제들에 해당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청마 시에서 그것들은 긴밀한 내적 구조 속에서 독특한 시적 긴장과 열기를 발하고 있었다.
피상적이고 거짓된 의사소통과 만남이 지배하고 있는 현실의 이율배반 속에서도 진정한 만남에의 열망을 버릴 수 없었던 시인은 자기 나름의 간접화된 방식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고독’에의 의미부여, ‘자연’에의 경도, ‘신’에 대한 사색 등은 모두 그가 맞이했던 모순, 즉 ‘사랑하는 자를 미워해야 하는’ 모순을 해결하고 진정한 생명에의 사랑과 자기 실현을 이루기 위해 그가 에둘러갔던 길의 궤적을 이루고 있다. 청마 유치환이 걸어간 이와 같은 길, 즉 작은 ‘나’를 벗어나 보다 큰 ‘나’인 ‘생명의 바다’에 도달하는 길은 불안과 절망 속에 있는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 In this paper, I established the axis of coordinates by keywords like as ‘society’, ‘solitude’, ‘nature’, and ‘life’ in order to consider systematically of Yoo Chi Hwan's speculation on human and nature,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nd I scrutinized each concept's meaning and inner relation.
First of all, as it were examined in items of ‘society’ and ‘solitude’, the attitude of masochism in Yoo Chi Hwan's poems is an indirect(ironic) expression of self accomplishment and an ardent wish for completion of an ideal community. The meanings of his ‘writing poetry’ and devoting himself to the ‘nature’ are quite clear when we study them by this method of negation.
Secondly, the items of ‘nature’ and ‘life’ point to direction which Yoo Chi Hwan intended to reach. In his poem, the nature was described as a place of epiphany. In the nature, he found out some views which all of beings are enjoying each feeling of full existing. Such feeling of self-sufficiency is not isolated but in perfect harmony with each other like as ‘the world of the Avatamska Sutra(華嚴)’.
In conclusion, Yoo Chi Hwan made a ceaseless effort to overcome the frame of small ‘self’ and reach at the ‘a bigger self’. All of those traces were put in his poems. We can feel a tention and heated atmosphere emitted from them. Therefore we call him a representative poet of life in Korea. KCI Citation Count: 10 |
---|---|
Bibliography: | G704-001014.2008..22.009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22.200808.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