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현대시와 정치
일백년 한국의 근 현대시는 본질적으로 정치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그것은 긍정적인 측면에서나 부정적인 측면 혹은 적극적인 측면이나 소극적인 측면 모두를 포함해서 하는 말이다. 정치 참여시들은 직접적인 정치개입 시라는 점에서, 순수시들은 정치의 대타적 개념으로 쓰여진 시라는 점에서 양자 공히 정치를 전제하고 있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 한국의 근 현대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와 정치의 함수관계를 살펴보는 일이 중요하다. 그 결과 우리의 근현대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추게 되었다. 시란 정치의 수단 혹은 정치의식...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시학연구, 0(22) pp. 7 - 3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시학회
01.08.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22.200808.001 |
Cover
Summary: | 일백년 한국의 근 현대시는 본질적으로 정치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그것은 긍정적인 측면에서나 부정적인 측면 혹은 적극적인 측면이나 소극적인 측면 모두를 포함해서 하는 말이다. 정치 참여시들은 직접적인 정치개입 시라는 점에서, 순수시들은 정치의 대타적 개념으로 쓰여진 시라는 점에서 양자 공히 정치를 전제하고 있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 한국의 근 현대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와 정치의 함수관계를 살펴보는 일이 중요하다. 그 결과 우리의 근현대시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갖추게 되었다.
시란 정치의 수단 혹은 정치의식의 반영이라는 견해의 확산, 정치의식으로 재단되는 가치 평가. 지사나 열사와 같은 시인상의 확립, 주제나 내용에 관한 시비가 중심이 된 비평담론,작품 해석의 도식성, 필요로 하는 시나 시인에 대한 정치적 합리화, 문단의 파당화, 장르적 특징이 무시된 시 비평, 메시지 전달 중심의 서술, 산문화된 시의 유행 등이다.
한국의 근현대시가 이렇듯 정치와 밀접히 관련을 맺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과거의 문학유산을 답습하였다. 전 시대 즉 조선 왕조 500년 동안의 우리 문학이 본질적으로 정치의 수단이었던 까닭에 이와 같은 문학태도가 우리의 근 현대문학에서도 그대로 유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우리 근대사 100년이 다른 어떤 민족의 그것보다도 정치적 파행의 연속이어서 그 어느 때나 항상 지식인의 정치 참여를 요구하였고 문학 역시 이로부터 자유스러울 수 없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이에 반응한 우리의 시는 즉자적으로 정치에 개입하거나 대타적으로 정치를 거부하는 두 가지의 대립되는 경향으로 전개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모두는 최소한 정치를 전제한 창작 태도라는 점에서 정치적이다. 결코 정치로부터 자유스러울 수 없었던 것이다.
Modern Korean poetry intrinsically has had close relations with politics, active and passive,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for the past hundred years. Not only activist poetry, which is a direct intervention into politics, but also pure poetry, which excluded political agendas from its text, was not entirely free from politics. Thus to understand modern Korean poetry, it is essential tha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litics.
As a result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litics, modern Korean poetry has come to bear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spread of the idea that poetry is a political instrument or a reflection of political awareness, the idea that a model poet should be a patriot, critical discourse that emphasizes mainly the content and subject matter of poetry, schematic understanding of poetry, rationalization of politically needed poets and poetry, the division of the literary world into different factions, and popularity of prose-like poetry.
The two main reasons for such closeness between politics and modern Korean poetr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ue to the continuation of past tradition. During the Chosun Dynasty of five hundred years, Korean literature was essentially a political instrument, and such attitude toward literature can be said to have been inherited to modern Korean literature. Second, the hundred years of modern Korean history was a time of political turmoil, and intellectuals were always called upon to take a political stand. As a result, modern Korean poetry either actively took part in politics or rejected politics altogether, and either way, literature could not be entirely free from politics. In that aspect, whichever stand or attitude the poet took, his/her poetry was thus, political.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1014.2008..22.007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22.200808.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