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수용 및 이용에 관한 통합 이론을 활용한유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미래의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도입이 기대보다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이용의도를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그리고 인지된 위험과 조절변수인 자발성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국내 의료기관의 종사자 98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했는데, 촉진조건을 제외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위험이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발성은 성과기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12) pp. 379 - 388
Main Authors 김수민, 이창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3.13.12.3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유헬스케어 서비스는 미래의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도입이 기대보다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이용의도를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그리고 인지된 위험과 조절변수인 자발성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국내 의료기관의 종사자 98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했는데, 촉진조건을 제외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위험이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발성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인지된 위험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u-Healthcare integration between ICT and healthcare service is able to utilize effectively for people’s healthcare anywhere and any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influence factors on intention to use u-Healthcare service of physicians and staffs working for medical institutions. Ninety eight(98) valid cases have been collected for this study. It is also analysed by SPSS 18.0 and SmartPLS 2.0M3. Empirical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as follows: firstly,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social influence positively influence intention to use u-Healthcare service; secondly, perceived risk negatively influences usage intention, and finally,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perceived risk are moderated by voluntariness. KCI Citation Count: 16
Bibliography:G704-001475.2013.13.12.09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3.13.12.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