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을 이용한 한국인의 흉추 측만증 유병률
연구 계획: 한국인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흉추 측만증의 연령에 따른 유병률과 특성을 단순 흉부방사선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목적: 향후 흉추 측만증의 연구와 치료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국내를 포함한 동양 인구에서의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을 조사한 논문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 30일 부터 2012년 10월 31일까지 본 병원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을 시행했던 80세 미만 환자의 방사선 사진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56 - 62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척추외과학회
01.06.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 계획: 한국인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흉추 측만증의 연령에 따른 유병률과 특성을 단순 흉부방사선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목적: 향후 흉추 측만증의 연구와 치료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국내를 포함한 동양 인구에서의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을 조사한 논문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 30일 부터 2012년 10월 31일까지 본 병원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을 시행했던 80세 미만 환자의 방사선 사진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흉추 측만증의 기준은 만곡의 첨부가 흉추부 내에 위치하고 Cobbs씨 방법에 의한 만곡각이 10° 이상으로 하였다. 촬영 당시의 연령을 기준으로 10세 미만(0-9세), 10대(10-19세), 20대(20-29세), 30대(30-39세), 40대(40-49세), 50대(50-59세), 60대(60-69세), 70대(70-79세)로 나누어연령군 간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과 만곡의 크기를 알아 보았고 남녀 및 좌우 만곡의 빈도, 주만곡 내의 척추 수, 첨부 척추의 위치, Nash & Moe 방법으로측정한 추체 회전, 그리고 골극 유무와 골극 형성 부위를 조사하였다. 또한 남녀간, 좌우 만곡간 만곡의 크기 차이를 함께 확인하였다.
결과: 총 26125명 중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은 2.4%(621명)이었고, 남성보다(1.8%, 246/13654), 여성에서(3.0%, 375/12471) 유병률이 더 높았다(p<0.001). 우측 만곡은 445명에서, 좌측 만곡은 176명에서 나타났다. 연령별 유병률 및 만곡각은 10세 미만에서 1.1%(14.2°±3.2°), 10대에서2.3%(17.4°±7.7°), 20대에서 2.5%(17.0°±8.9°), 30대에서 1.9%(15.8°±5.9°), 40대에서 1.3%(15.5°±6.6°), 50대에서 2.1%(18.0°±13.6°), 60대에서2.9%(14.3°±3.6°), 70대에서 6.1%(16.2°±4.8°)이었다. 흉추 측만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평균 만곡각은 16.0°±7.0°였고 10-19°가 533명, 20-29°가 64 명, 30-39°가 11명, 40° 이상이 13명이었다. 성별에 따른 만곡각은 남성 15.4°±7.1°, 여성 16.8°±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인의 연령별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 및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흉추 측만증의 연구와 치료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는 기초 자료로의 활용을 기대한다.
제목: 한국인의 흉추측만증 유병률 Study Design: A cross-sectional study.
Objectives: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the study and treatment of thoracic scoli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thoracic scoliosi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11 to October 2012, radiographs of patients under 80 years of age who underwent routine chest radiograph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d on their age when the chest radiographs were obtain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8 groups. The prevalence and angle of the curve of thoracic scoliosis were investigated in each age group, and the prevalence of thoracic scoliosis according to sex, the direction of the curve, number of vertebrae in the major curve, the location and rotation of the apical vertebrae, and osteophyte location were examined.
Results: The prevalence of thoracic scoliosis was 2.4% (621 patients), and female patients (3.0%, 375 of 12471) showed a higher prevalence than male patients (1.8%, 246 of 13654) (p<0.001). Right curvature was present in 445 patients and left curvature in 176 patients. In each age group, the prevalence and degree of thoracic scoliosis were 1.1% (14.2°±3.2°), 2.3% (17.4°±7.7°), 2.5% (17.0°±8.9°), 1.9% (15.8°±5.9°), 1.3% (15.5°±6.6°), 2.1% (18.0°±13.6°), 2.9% (14.3°±3.6°), and 6.1% (16.2°±4.8°), respectively. The mean curvature in all scoliosis patients was 16.0°±7.0°. The angle of the curv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15.4°±7.1° for males, 16.8°±7.6° for females). The average curve angle of patients with thoracic scoliosis was 16.0°±7.0°, among whom it was 10°-20° in 533 patients, 20°- 30° in 64, 30°-40° in 11, and over 40° in 13.
Conclusion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the study and treatment of thoracic scoliosis.
Key Words: Scoliosis, Thoracic vertebrae, Prevalenc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93-4378 2093-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