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ion between Exonic SNPs of TLR5 and Benign Prostate Hyperplasia in Korean Population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부터 유전적 성질이 발병에 관여할 수 있음을 추측된다. Toll-like receptor (TLR) 5는 자연면역 체계의 한 주축이며, 이 유전자에 의한 면역반응은 BPH의 발병에 연관될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LR5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들과 한국인에서의 BPH 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총 3개의 SNP을 선정하였고, 219명의 BPH그룹과 211명의 비 환자 그룹에서 유전형을분석하였다. 실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pp. 331 - 337
Main Authors 석호식, 이병철, 김영옥, 정주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부터 유전적 성질이 발병에 관여할 수 있음을 추측된다. Toll-like receptor (TLR) 5는 자연면역 체계의 한 주축이며, 이 유전자에 의한 면역반응은 BPH의 발병에 연관될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LR5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들과 한국인에서의 BPH 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총 3개의 SNP을 선정하였고, 219명의 BPH그룹과 211명의 비 환자 그룹에서 유전형을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두 개의 missense SNP (rs5744174, rs2072493)이 BPH발병과 유의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TLR5 유전자는 한국인 비만과 유전적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큰 집단에 대한 연구가이뤄질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s prevalent in aging male, and it is increasing in Korean male. Factors affecting BPH development include family history. Toll-like receptor (TLR) 5 is a major part of innate immune, and it may contribute to the immunologic responses linked to the BPH pathophysiology. To investigate the genetic effect of the TLR5 polymorphisms on the development and clinical features of BPH, three missens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TLR5 (rs5744168, rs5744174, rs2072493) were tested in 219 BPH and 211 control subjects. The SNPs were genotyp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s5744174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PH in genotype analysis (codominant2, OR=9.60, p=0.005; recessive, OR=9.15, p=0.001; and log-additive, OR=1.56, p=0.018). rs2072493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PH (codominant1, OR=0.65, p=0.042; dominant, OR=0.63, p=0.022; log-additive, OR=0.69, p=0.018; and allele frequencies, OR=0.70, p=0.02).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LR5 polymorphisms may be associated with BPH, and that rs5744174 and rs2072493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BP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 therefore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 and other populations will be needed to verify our results. (Korean J Str Res 2013;21:331∼337)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2182.2013.21.4.008
ISSN:1225-665X
2234-1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