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한기의 ‘통’에 나타난 소통윤리
최한기는 ‘통(通)’에서 인간과 사회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보편가능성 원리와 처방성 원리를 횡단매개 원리로 삼아 소통윤리를 제시하였다. 인간에 내재하는 신기(神氣)는 마음의 추측으로 인하여, 어떤 ‘형체’로서 상통(相通)하게 된다. 이 마음이 대기운화, 천지운화 기를 본받을 때, 그 유행의 이치는 신기 속에 자신의 형체를 드러내게 된다. 즉 마음으로 인해 형성된 형체가 있어야 소통된다는 것이다. 운화의 객관적 이치가 추측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된 것이 바로 그 형체이며, 이는 곧 윤리논증으로서 심기(心氣)가 된다. 심...
Saved in:
Published in | 윤리연구, 1(73) pp. 139 - 16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윤리학회
01.06.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982-5121 2982-5334 |
DOI | 10.15801/je.1.73.200906.139 |
Cover
Summary: | 최한기는 ‘통(通)’에서 인간과 사회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보편가능성 원리와 처방성 원리를 횡단매개 원리로 삼아 소통윤리를 제시하였다. 인간에 내재하는 신기(神氣)는 마음의 추측으로 인하여, 어떤 ‘형체’로서 상통(相通)하게 된다. 이 마음이 대기운화, 천지운화 기를 본받을 때, 그 유행의 이치는 신기 속에 자신의 형체를 드러내게 된다. 즉 마음으로 인해 형성된 형체가 있어야 소통된다는 것이다. 운화의 객관적 이치가 추측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된 것이 바로 그 형체이며, 이는 곧 윤리논증으로서 심기(心氣)가 된다.
심기 형성 이전의 추측으로서의 마음과 달리 심기는 일종의 형성된 유형이다. 그러나 이 심기는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며, 환경과 노력을 통하여 변통하는 성질을 지닌 것으로 욕구․욕망에 대하여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한다. 또한 운화의 체계에서 심기운화라는 조목은 근본적인 것에 해당하므로, 심기는 ‘한’의 일통(一統)으로 나아가는 소통윤리의 출발이 된다. 이 글에서는 소통윤리의 관점에서 최한기 ‘통’의 횡단매개 작용, ‘통’의 위계등급 구조, ‘통’의 윤리논증을 중심으로 최한기의 소통윤리의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ommunicative ethics in the 'authority' of Choe Han Kee. He used transversal principle in the epistemology that regarding part of an alternative plan of conquering the idealism which is recognizing innate ideas of the reason in one's mind. Especially in the explanation of such notions, the most important thought of this thesis is that how his logics of the empiricism, intuitivism and verification which are penetrating the whole philosophies.
The matter regarding the denotation or category of the epistemology notion, such as, matter of the meaning is very important to explain his epistemology. Because, debating the substance of his epistemology without unified the meaning of epistemological conceptions are mo more than an ideal thought building that has unsolved fundamental mistakes of the discussions.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clarify definitely this points. regarding to his epistemological conceptions, an tried to render help for understand his cognition theory.
We tried to examine that "the presumption(推測)" is affected deep relation with process of cognition as the middle concept, and the authority(通) is named mostly for object of cognition as the result of cognition. At the first stage, cores of Hye Kang cogitation such as Chi(氣) and Sin-chi(神氣), authority(通) and presumption(推測), Li(理) and circulation(運化) are extracted. So this study establishes structure of Chi-hak(氣學) systematically, and reinterprets moral meaning of Dae-Chi-Un-Wha(大氣運化) that is located on the most upper stage of circulation stages.
Now,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ethics is integration. However, at standpoint of reflection that a abstract theory do not exist in the Simchi concept of Choe Han Kee and structure of Chi-hak(氣學) as life force.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880.2009.1.73.003 |
ISSN: | 2982-5121 2982-5334 |
DOI: | 10.15801/je.1.73.200906.1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