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의 금강산도를 배경으로 한 인터렉티브 미디어 콘텐츠 제안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시각적 미디어의 발달은 모든 정보의 전달방식을 시각적 이미지로 바꾸고 있다. 최근 들어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이 문화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미술교육에 있어 그 필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 사회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IT기술을 만남은 동영상, AR, VR, 홀로그램, 미디어 파사드 등의 뉴미디어 콘텐츠로 탄생되고 다양한 영역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그림 속 다양한 교육적 의미를 내포한 조선시대 정선의 금강산도를 기반으로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Saved in:
Published in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9(1) pp. 61 - 7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3.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0.03.06 |
Cover
Summary: |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시각적 미디어의 발달은 모든 정보의 전달방식을 시각적 이미지로 바꾸고 있다. 최근 들어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이 문화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미술교육에 있어 그 필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 사회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IT기술을 만남은 동영상, AR, VR, 홀로그램, 미디어 파사드 등의 뉴미디어 콘텐츠로 탄생되고 다양한 영역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그림 속 다양한 교육적 의미를 내포한 조선시대 정선의 금강산도를 기반으로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접목한 금강산도 인터렉티브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에 금강산도 콘텐츠의 영상에 등장하는 다양한 그림들을 통해 조선시대의 문화적 배경과 함께 역사적 배경을 현대인에게 알릴 수 있으며 현대적 의미로 재구성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미디어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content industry, the development of visual media is transforming the way all information is communicated into visual images. In recent years, visual literacy has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need for art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the interest in education of today's society meets IT technology, various contents such as video, AR, VR, hologram, media facade are created. In this paper, we selected these pictorial elements as the subject of contents and propose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media contents of Geumgang painting, which incorporates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based on Jeong seon. Through this content of Geumgangsando, historical background knowledge can be learned based on the cultural aspects of Joseon Dynasty for various paintings in the video.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059_401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0.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