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병변의 감별에서 탄성초음파와 회색조 초음파의 진단 성적 비교

목적: 유방의 악성 및 양성 종괴의 감별에 있어서 탄성초음파와 회색조 초음파의 진단 성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3개월 동안 본원에서 유방 초음파를 시행한환자 중 종괴가 발견되어 조직검사가 계획된 277명의 환자,335개의 유방 종괴를 대상으로 탄성초음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탄성초음파에서 양성 및 악성 종괴에 대한 평가는 단면적비 1.0을 기준으로 진단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에서는 BIRADS에근거하여 범주 2와 범주 3에 해당하는 유방 종괴는양성으로, 범주 4와 범주 5의 종괴는 악성으로 분류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Ultrasonography (Seoul, Korea) pp. 239 - 245
Main Authors 강지영, 이진화, 김은경, 신수영, 김병권, 조진한, 하동호, 박병호, 최순섭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초음파의학회 01.12.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유방의 악성 및 양성 종괴의 감별에 있어서 탄성초음파와 회색조 초음파의 진단 성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3개월 동안 본원에서 유방 초음파를 시행한환자 중 종괴가 발견되어 조직검사가 계획된 277명의 환자,335개의 유방 종괴를 대상으로 탄성초음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탄성초음파에서 양성 및 악성 종괴에 대한 평가는 단면적비 1.0을 기준으로 진단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에서는 BIRADS에근거하여 범주 2와 범주 3에 해당하는 유방 종괴는양성으로, 범주 4와 범주 5의 종괴는 악성으로 분류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와 탄성초음파의 진단성적을 비교하기 위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정확도를 구하고, ROC curve를 분석하였다. 결과: 병리 결과에서 335개의 종괴 중 악성은 85개(25.4%)이었다. 회색조 초음파에서는 264예(78.8%)를 악성종괴로 진단하였고, 탄성초음파에서는 102예 (30.4%)를 악성으로 진단하였다. 회색조 초음파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정확도는 각각 98.8%, 28.0%, 31.8%, 98.6%,79.4% 이었고, 탄성초음파는 각각 69.4%, 81.2%, 57.8%,88.8%, 79.4% 이었다. 탄성초음파는 회색조 초음파와 비교하여 특이도와 양성예측도는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민감도와 음성예측도는 낮았다 (p < 0.001). ROC curve 분석에서 탄성초음파와 회색조 초음파의 AUC 값은 각각 0.761과0.634 (p < 0.001) 이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공간 상관도 기법을 이용한 탄성초음파는회색조 유방초음파와 비교하여 특이도와 양성예측도를 향상시키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민감도와 음성예측도를 낮추므로유방 병변의 진단에 있어 탄성초음파는 회색조 초음파의 보완적인 검사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ultrasound (US) elastography and conventional B-mode US for discrimin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breast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a 13-month period, 277 women with 335 sonographically visible breast lesion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biopsy were examined with US elastography. Elastographic findings were classified as benign or malignant based on the area ratio, with 1.00 as the threshold. Findings on conventional Bmode U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I-RADS category, as follows: lesions of BIRADS categories 2 and 3 were considered benign, while those in categories 4 and 5were considered malignant.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accuracy, and ROC curve analysis for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US elastography and conventional B-mode US. Results: Of the 335 breast lesions, 85 (25.4%) showed malignancy on pathology. Findings on B-mode US showed malignancy in 264 (78.8%) and elastographic findings showed malignancy in 102 (30.4%).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and accuracy of B-mode US and elastography were 98.8%, 28.0%, 31.8%, 98.6%, and 79.4% and 69.4%, 81.2%, 57.8%, 88.8%, and 79.4%, respectively. Elastograph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pecificity and PPV and lower sensitivity and NPV, compared with B-mode US (p < 0.001).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value) was 0.761 for elastography, and 0.634 for B-mode US (p < 0.001). Conclusions: US elastography can improve specificity and PPV of B-mode US,but with significant sacrifice of sensitivity and NPV. Therefore, US elastography may complement B-mode US for differentiation of breast masse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1003.2012.31.4.007
ISSN:2288-5919
2288-5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