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빈도 태아 기형의 산전 초음파 진단

고령산모와 유해환경 노출이 증가함에 따라 선천성 기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전 초음파 검사에 기초한선천성 기형의 빈도를 파악하고 주요 초음파 소견을 기술하고자 한다. 산전 초음파검사에서 태아의 기형이 발견되면 산모와 가족들은 매우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산전관리에 대한 적절한 선택을 위해 산전상담이 제때에 이루어져야 한다. 선천성 기형에 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조기진단은 산모와 가족들이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have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cong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Ultrasonography (Seoul, Korea) pp. 249 - 260
Main Authors 송미진, 김영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초음파의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5919
2288-5943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고령산모와 유해환경 노출이 증가함에 따라 선천성 기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전 초음파 검사에 기초한선천성 기형의 빈도를 파악하고 주요 초음파 소견을 기술하고자 한다. 산전 초음파검사에서 태아의 기형이 발견되면 산모와 가족들은 매우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산전관리에 대한 적절한 선택을 위해 산전상담이 제때에 이루어져야 한다. 선천성 기형에 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조기진단은 산모와 가족들이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have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congenital anomaly, caused by an increasingnumber of pregnancies in elderly women and exposure to hazard environmental factors. Our aim i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congenital anomaly based on prenatalultrasonography, and to describe the major ultrasonographic findings. Findings of fetalanomalies on prenatal ultrasound examination always lead to stressful times forwomen and families; when a fetal anomaly is identified, the pregnant woman shouldbe offered a timely consultation in order to optimize prenatal management options.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nd early detection to these women and families willallow them to make informed decision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003.2013.32.4.010
ISSN:2288-5919
2288-5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