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인자들에 대한 단면적 연구

목 적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17-56%에서 단백질-열량 영양실조를 보이며, 영양실조는 이환율 및 치사율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실조의 유병율과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인자들간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여 영양 실조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고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한 3개월 이상 정기적인 외래 추적관찰을 받았고, 임상적으로 안정된 127명을 대상으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pp. 943 - 955
Main Authors 강이화, 구영석, 이상철, 한승혁, 윤수영, 최소래, 박형천, 강신욱, 최규헌, 이호영, 한대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신장학회 01.12.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17-56%에서 단백질-열량 영양실조를 보이며, 영양실조는 이환율 및 치사율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실조의 유병율과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인자들간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여 영양 실조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고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한 3개월 이상 정기적인 외래 추적관찰을 받았고, 임상적으로 안정된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방법, 인체 계측, 운동 능력, 혈청 생화학적 분석, 요소 동력학 모형의 지표, 식이 섭취정도를 단면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을 50.7±11.4세이었고, 남녀 비는 1 : 1이었으며, 평균 투석기간은 67.3±39.7개월이었다.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방법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정상 영양상태를 보이는 환자 (Ⅰ군)는 75명 (59.0%), 경도의 영양실조를 보이는 환자 (Ⅱ군)는 30명 (33.6%)이었으며, 중등도 내지 중증의 영양실조를 보이는 환자 (Ⅲ군)는 22명 (17.4%)이었다. 임상적 특성 중, 환자의 나이 (P<0.01), 투석기간 (p<0.05)에 Ⅰ군 보다 Ⅲ군에서 유의하게 높아 연령이많고 투석기간이 길수록 영양실조의 빈도가 많았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 중, Ⅰ군보다 Ⅲ군에서 혈청 크래아티닌, 중성지방, 단백질, 알부민, prealbumin, IGF-1, traansferrin, 등이 유의하게 낮았고 (p<0,01), 반대로 CRP,, ferritin, IL-6 등은 의의있게 높았다 (p<0,05). 알부민은 세 군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인체 계측치와 운동 수행능력 평가에서는 체중, 이상체중에 대한 백분율, 체지방량, 체질량비, 중완둘레, 피부측벽두께, 중완 근육면적 등이Ⅰ군에비해 Ⅱ, Ⅲ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다변량 희귀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는 혈청 알부민, leptin, CRP이었다 결론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받는 약 40%의 호나자들이 경중 이상의 영양실조를 보였으며, 여러 임상적, 혈청 생화학적 인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 독립적으로 연관이 있는 인자는 혈청 알부민, CRP, leptin이었는데, 세 군간에 투석량과 식이 섭취에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급성 및 만성 염증 반응이 영양 실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중 leptin의 역할에 대해서는 향후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s common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an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Korean CAPI) patients. Other purposes were to ascertain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nutritional parameters and to evaluate factor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alnutrition in CAPD patients. Methods : Subjects were clinically stable 127 patients who have been on CAPD for more than 3 months. Nutritional status was assessed by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biochemical, anthropometric, and urea kinetic parameter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0.7±11.4 years with sex ratio (M : F) 1:1, and mean duration of dialysis was 67.3±39.7 months.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SGA group Ⅰ(normal nutrition, n=75, 59.0%), group Ⅱ(mild malnutrition, n=30, 23.6%) and group Ⅲ (moderate to severe malnutrition, n=22, 17.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CAPD duration, peritonitis rate and hospital-days per year between group Ⅰ and group Ⅲ. Among biochemical variables, serum creatinine, triglyceride, protein, albumin, prealbumin, IGF-1, transferrin and lept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compared to group Ⅰ (p<0.05), and CRP, ferritin, and IL-6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Ⅲ than group Ⅰ.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albumin among all three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Kt/Vurea, nPNA and SCCr among three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ual renal function (p<0,05) and PNA (p<0.05) between group I and group Ⅲ. Among anthropometric variables, body weight, %IBW, BMI, %body fat mass, MAC, TSF, BSF, CAMA, and TB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than the other two groups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exercise capacity and food intake among the three groups.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arameters used for assessing malnutrition, we conducted Pearson`s rank correlation test. Sen albumin (γ=0.45), age (γ=-0.29), %JBW (γ=0.52), leptin (γ=0.32), CRP (γ=-0.24), TSF (γ =0.45) and CAMA (γ=0.41)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GA.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bumin, leptin, and CRP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alnutrition (p<0.05). Conclusion : About 40% of CAPD patients were malnourished according to SG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rum albumin, leptin and CRP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alnutr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te and chronic inflamniatory respon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CAPD patients with comparable food intake and dialysis does.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889.2002.21.6.016
ISSN:2211-9132
2211-9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