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GDP Solution (Multi-compartment Bag)으로 복막투석을 시행한 환자에서 CA125 및 PIIINP (Procollagen-3-N-terminal Peptide)의 변화
목 적: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복막투석시 발생하는 포도당 분해 산물 (glucose degradation product, GDP)이 복막에 생체 부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기존의 복막투석액을 사용하는 군과 low GDP solution (multi-compartment bag)으로 구성된 복막투석액 (Gambro trioⓇ)을 사용하는 군에서 CA125와 PIIINP (Procollagen-3-N-terminal peptide)를 비교하여 두 군간의 복막 생체적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복막투석을 하는 45명의 환자를 실...
Saved in:
Published i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pp. 118 - 125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신장학회
01.01.200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11-9132 2211-9140 |
Cover
Summary: | 목 적: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복막투석시 발생하는 포도당 분해 산물 (glucose degradation product, GDP)이 복막에 생체 부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기존의 복막투석액을 사용하는 군과 low GDP solution (multi-compartment bag)으로 구성된 복막투석액 (Gambro trioⓇ)을 사용하는 군에서 CA125와 PIIINP (Procollagen-3-N-terminal peptide)를 비교하여 두 군간의 복막 생체적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복막투석을 하는 45명의 환자를 실험군 (n=27), 대조군 (n=18)으로 구분지어 1, 3, 6, 12개월 동안 추적하면서 복막투석액의 CA125, PIIINP의 농도 및 serum Hemoglobin, Na, K, Cl, total CO2, total Ca, Phosphate, BUN, creatinine, glucose, albumin 등의 생화학지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실험 기간 중 각 군간의 합병증 발생을 조사하였고, 다중회귀분석으로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결 과:배액된 투석액 중의 CA125의 농도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개월에 45.4±17.3 U/mL vs. 25.9±18.4 U/mL (p=0.001), 3개월에 46.5±21.2 U/mL vs. 29.7±15.7 U/mL (p=0.007), 6개월에 44.0±19.5 U/mL vs. 25.3±14.4 U/mL (p=0.021), 12개월에 41.1±17.3 U/mL vs. 21.3±15.3 U/mL (p=0.015)로 관찰된 전 기간에 걸쳐 유의하게 실험군에서 높았고, PIIINP의 농도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개월에 132.5±78.0 ng/mL vs. 69.5±33.6 ng/mL (p=0.001), 6개월에 206.9±84.1 ng/mL vs. 95.7±45.4 ng/mL (p=0.001)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실험기간 중 두 군간 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저농도 GDP로 구성된 복막투석액으로 투석을 시행한 군에서 GDP 생성의 감소로 인하여 복막 중피세포의 활성도를 보다 잘 유지할 수 있었고, 저농도 GDP로 구성된 복막투석액이 생체 적합성에 더 우월한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The bioincompatability of the conventional peritoneal dialysis can be partly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GDPs, which are generated during the heat sterilization. Formation of GDP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use of multi-chamber bag systems because high concentrated glucose is separated from alkaline lactate.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multi-chamber bag system can improve the in vivo biocompatibility, we performed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comparing the multi-chamber bag system with the conventional PD system, measuring CA125 and PIIINP levels in the effluent dialysates as well as the other clin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Methods:Forty five patients who were stable on CAPD were enrolled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n=27), and control group (n=18). Overnight effluent was collected for measurement of CA125 and PIIINP and the other clinical, biochem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including the number of peritonitis, the ultrafiltration volume.
Results:In patients treated with the multiple chamber bag system,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A125 and PIIINP from 1 month. No clin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fluenced on their levels.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or ultrafiltration volum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Using the low GDP solution resulted in a better preservation of peritoneal mesothelial mass and an improvement of local peritoneal homeostasis, which are supposed to contribute to the biocompatibility of peritoneal dialysis fluid. (Korean J Nephrol 2005;24(1):118-125)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889.2005.24.1.017 |
ISSN: | 2211-9132 2211-9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