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민간요법에 의한 고나트륨혈증 1예
고나트륨혈증은 보고서마다 차이는 있으나 입원 환자를 기준으로, 대상이나 장애에 따라 0.3-8.9%의 유병률을 보인다1, 2). 고나트륨혈증은 지역사회보다 원내 환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과량의 소금섭취보다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상태에서 주로 나타나며3-6) 사망률이 40-70%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2, 7). 고나트륨혈증의 고위험군은 영아를 포함한 소아, 의식장애환자, 기도삽관 환자와 노인 등으로 알려져 있다6). 국외에서 보고된 과량의 경구 소금섭취로 발생한 고나트륨혈증 증례는 신경정신과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성인이나...
Saved in:
Published i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pp. 675 - 680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신장학회
01.07.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11-9132 2211-9140 |
Cover
Summary: | 고나트륨혈증은 보고서마다 차이는 있으나 입원 환자를 기준으로, 대상이나 장애에 따라 0.3-8.9%의 유병률을 보인다1, 2). 고나트륨혈증은 지역사회보다 원내 환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과량의 소금섭취보다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상태에서 주로 나타나며3-6) 사망률이 40-70%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2, 7). 고나트륨혈증의 고위험군은 영아를 포함한 소아, 의식장애환자, 기도삽관 환자와 노인 등으로 알려져 있다6). 국외에서 보고된 과량의 경구 소금섭취로 발생한 고나트륨혈증 증례는 신경정신과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성인이나 소아에서 독성물질 섭취 후 구토를 유발하기 위해서, 민간 종교의식에서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과량의 소금을 복용시키거나 혹은 우연히 과량의 소금을 먹고 발생하였고 뇌부종, 폐부종 등 고나트륨혈증에 의한 급성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3-5, 8-14). 국내에서는 박 등15)이 뇌혈관 질환이 있는 노인에서 탈수로 발생한 심한 고나트륨혈증 (206 mmol/L)을 보고한 바 있으나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과량의 소금섭취 후 발생한 고나트륨혈증에 대한 증례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 없다.
저자들은 만성 세관간질신염에 의한 신부전 환자가 혈액투석에 대한 거부감으로 약 3개월 동안 민간요법에 의지하여 과량의 소금을 섭취하고 혈청 나트륨이 189 mmol/L까지 증가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report a case of chronic hypernatremia caused by excessive salt intake as folk remedies for three months. The patient had chronic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CTIN), but without documented cognitive or psychiatric disorders. She presented with severe hypernatremia 189 mmol/L and general weakness. Fluid therapy was done initially with isotonic and then with 0.45% hypotonic saline until serum sodium level reached to 157 mmol/L. Finally hemodialysis was supplemented to achieve normal serum sodium level, and she recovered without any sequelae. This report might be the first case of chronic hypernatremia due to voluntary ingestion of excessive salt in an adult patient with CTIN but without cognitive or psychiatric disorders. (Korean J Nephrol 2006;25(4):675-679)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0889.2006.25.4.004 |
ISSN: | 2211-9132 2211-91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