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발생한 요도하 질 평활 근종 1예
자궁 근종은 가장 흔한 여성 생식기 종양이나 질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질에 발생한 근종은 일반적으로 질의 전벽에 발생하며 방광류나 자궁 탈출증 등과 같은 다양한 여성 생식기 질환들과 구분이 쉽지 않다. 특히 임신 중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임신 중 자궁근종의 진단과 임신에 대한 영향이 초음파의 사용에 의해 많이 알려진 반면에 질에 발생한 근종은 그렇지 않다. 본 저자들은 처음에 방광류로 진단받은 산모의 제왕절개 분만 및 질 전벽 봉합술 후 다시 돌출된 질 전벽 종괴에 대해 질식 근종 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임...
Saved in:
Published in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pp. 159 - 162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산부인과학회
01.03.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8572 2287-8580 |
Cover
Summary: | 자궁 근종은 가장 흔한 여성 생식기 종양이나 질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질에 발생한 근종은 일반적으로 질의 전벽에 발생하며 방광류나 자궁 탈출증 등과 같은 다양한 여성 생식기 질환들과 구분이 쉽지 않다. 특히 임신 중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임신 중 자궁근종의 진단과 임신에 대한 영향이 초음파의 사용에 의해 많이 알려진 반면에 질에 발생한 근종은 그렇지 않다. 본 저자들은 처음에 방광류로 진단받은 산모의 제왕절개 분만 및 질 전벽 봉합술 후 다시 돌출된 질 전벽 종괴에 대해 질식 근종 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임신 중 요도하부 질 전벽에 발생한 근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uterine myoma i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in gynecologic fi eld, but rarely occurs in the vagina, especially in pregnancy.
The vaginal myoma usually arises from the anterior vaginal wall and may be confused with a variety of gynecologic problems, like the cystocele or uterine prolapse. By ultrasonography in antenatal care, the more cases of uterine myoma and those adverse effects during pregnancy are more frequently detected, but this case of vaginal myoma is not. The patient, was diagnosed for cystocele at fi rst, had Cesarean section delivery at gestational age 37+5 weeks and anterior colporrhaphy, but the protruded vaginal mass was recurrent. So, the patient was managed surgically by transvaginal myomectomy and the final diagnosis was myoma. We experienced this case of suburethral myoma of the vagina in pregnancy, so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834.2011.54.3.004 |
ISSN: | 2287-8572 2287-85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