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 이하 청소년기 여성의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치료 후 예후
목적자궁내막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한 환자 중 20세 이하 환자의 임상 양상, 중증도 및 재발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 후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20세 미만 환자 7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수술 결과 및 임상 증상을 검토하였다. 결과수술받은 환자의 평균 나이는 18.5세이며, 15세 이하의 나이에 수술받은 환자는 5명으로 6.3%를 차지하였다. 뮐러리안관 기형과 관련된경우는 총 6예로 7.6%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Saved in:
Published in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pp. 448 - 453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산부인과학회
01.08.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8572 2287-8580 |
Cover
Summary: | 목적자궁내막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한 환자 중 20세 이하 환자의 임상 양상, 중증도 및 재발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 후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20세 미만 환자 7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수술 결과 및 임상 증상을 검토하였다.
결과수술받은 환자의 평균 나이는 18.5세이며, 15세 이하의 나이에 수술받은 환자는 5명으로 6.3%를 차지하였다. 뮐러리안관 기형과 관련된경우는 총 6예로 7.6%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약 79%에서 생리통, 비주기성 골반통 또는 위장관계통의 통증과 같은 통증 관련된 증상이있었다. 자궁내막증은 환자들의 평균 추적관찰 기간 동안(33.7±28.5개월) 20.3%에서 병기 I기에, 7.6%가 병기 II기에, 40.5%가 병기 III기에발견되었다. 병기 I, II기의 환자에서는 추적관찰 기간 동안 유의한 재발은 없었다. 병기 III, IV기인 경우에는 약 15.6%와 28%에서 재발이 있었다. 추적관찰 결과 36개월에 82.5%에서 질병의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환자들의 추적관찰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발의 빈도는 점점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자궁내막증은 청소년 및 20대 초반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재발률은 진행된 병기에서 더 높다. 자궁내막증은 진행성 질환이므로조기에 진단을 하여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surgically treated endometriosis in adolescent women below 20 year age.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n patients diagnosed endometriosis on operation below 20 year age at Cheil General Hospital between January 2001 and October 2010.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results and follow-up data for 79 women were collected.
Results The mean age at operation was 18.5 year age, and in 5 cases (6.3%) the operation was performed at ≤ 15 year age. Müllerian anomalies were accompanied in 6 cases (7.6%). Seventy-nine per cent of patients had pain associated symptoms such as dysmenorrhea, non cyclic pelvic pain, and gastrointestinal pain. Endometriosis was found to be stage I in 20.3% of patients, stage II in 7.6% of patients, stage III in 40.5% of patients and stage IV in 31.6% of patients. We could not fi nd any recurrence in patients with stage I and II endometriosis, however patients with stage III and IV endometriosis showed recurrence rates of 15.6% and 28.0%,respectively,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33.7 ± 28.5 months). During the 36-month follow-up,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subjects free from endometrioma recurrence was 82.5%, but the rate increased as the follow-up period was extended.
Conclusion Endometriosis can occur in adolescents and the recurrence rate is higher in advanced stage. As endometriosis is a progressive diseas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during adolescence may be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834.2011.54.08.008 |
ISSN: | 2287-8572 2287-85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