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논낭의 회전 피판을 이용한 저안압 치험 1예
목적 : 섬유주절제술 후 주사침복원술(needle revision, NR)을 시행한 환자에서 맥락막박리를 동반한 저안압이 발생하여 테논낭의 회전 피판법을 이용하여 치료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15세 여자 환자가 우안의 수정체 앞방탈구를 동반한 급성폐쇄각 녹내장으로 수정체절제술, 평면부유리체절제술, 인공수정체 공막봉합고정술을 시행한 후 안압이 상승되어 3개월째 마이토마이신씨(mitomycin C, MMC)를 사용한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안압상승으로 MMC를 사용한 NR을 5회 시행하였다. 마지막 NR...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pp. 866 - 87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06.200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 섬유주절제술 후 주사침복원술(needle revision, NR)을 시행한 환자에서 맥락막박리를 동반한 저안압이 발생하여 테논낭의 회전 피판법을 이용하여 치료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15세 여자 환자가 우안의 수정체 앞방탈구를 동반한 급성폐쇄각 녹내장으로 수정체절제술, 평면부유리체절제술, 인공수정체 공막봉합고정술을 시행한 후 안압이 상승되어 3개월째 마이토마이신씨(mitomycin C, MMC)를 사용한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안압상승으로 MMC를 사용한 NR을 5회 시행하였다. 마지막 NR 시행 후 맥락막박리를 동반한 저안압이 관찰되어 여과포 교정술과 자가 테논낭의 회전 피판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수술 후 일주일째 안압은 18 mmHg였고 여과포는 잘 형성되어 있었으며 맥락막박리는 호전되었고 혈관사행, 맥락망막주름이 관찰되었다. 수술 후 5개월에 최대교정시력은 0.5, 안압은 20 mmHg이었고 혈관사행은 감소하였고 황반부의 맥락망막주름은 소실되었다.
결론 : 섬유주절제술과 NR후에 발생한 맥락막박리를 동반한 저안압 환자에서 여과포 교정술과 자가 테논낭의 회전 피판법을 시행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rotational flap of Tenon's capsule for hypotony with choroidal detachment occurring after trabeculectomy and needle revision (NR) of a nonfunctioning bleb.
Methods: An 15-year-old female, suffering acute angle-closure glaucoma with lens dislocation into anterior chamber,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lensectomy, and intraocular lens scleral fixation. Three months later, trabeculectomy with mitomycin C (MMC) and NR with MMC were performed to decrease intraocular pressure (IOP). After 5th NR, hypotony with choroidal detachment occurred. Consequently, bleb revision and rotation flap of the autologous Tenon's capsule were performed.
Results: One week after surgery, IOP was 18 mmHg, and a diffuse bleb was formed. Choroidal detachment improved with remaining vascular tortuisity and chorioretinal folds. At five month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5, IOP was 20 mmHg, vascular tortuisity decreased, and chorioretinal folds disappeared in the macula.
Conclusions: Hypotony with choroidal detachment occurring after needle revision was treated effectively with bleb revision and rotation at flap of autologous Tenon’s capsule.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001025.2007.48.6.003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