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라식과 라섹 수술 간의 Aberrometer 측정을 통한 고도수차의 비교
목적 :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LASIK과 LASEK을 시행한 환자에서 aberrometer로 측정한 고도수차(HOA)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52명 104안에서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LASIK을, 54명 104안에서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LASEK을 시행하였고, 술후 1개월과 3개월째 최대교정시력, 나안시력, 현성굴절검사, 그리고 웨이브프론트 수차를 측정하여 술전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 술전 동공 크기, 최대교정시력, 나안시력, 굴절력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며, 술후에도 통계학...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p. 8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10.200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LASIK과 LASEK을 시행한 환자에서 aberrometer로 측정한 고도수차(HOA)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52명 104안에서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LASIK을, 54명 104안에서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LASEK을 시행하였고, 술후 1개월과 3개월째 최대교정시력, 나안시력, 현성굴절검사, 그리고 웨이브프론트 수차를 측정하여 술전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 술전 동공 크기, 최대교정시력, 나안시력, 굴절력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며, 술후에도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OA의 RMS 값은 두 집단 모두 술후 증가되지 않았다. 표준화된 극성 Zernike 계수값은 LASIK 집단 내에서 술후 구면 수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LASEK 집단에서 술후 1개월 째 구면 수차와 2차 코마 수차가 LASIK 집단보다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각각 p=0.002, p=0.002).
결론 : 웨이브프론트 방식을 이용한 LASIK과 LASEK 군은 종래의 고식적 수술과는 달리 고도수차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LASIK 군은 술후 1개월에 LASEK 군보다 낮은 고도수차의 값을 보였다(p=0.0004). Purpose: To compare the change in higher-order aberrations (HOAs) in the treatment of myopia between two different Wavefront-guided excimer ablations: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and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Methods: One hundred and four eyes of 52 patients were treated with wavefront-guided LASIK while 104 eyes of 54 patients were treated with wavefront-guided LASEK. Pupil siz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manifest refraction, corneal topography, pachymetry, and wavefront aberrations were examined preoperatively. BCVA, UCVA, manifest refraction, and wavefront aberrations were measured at 1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The Hartmann-Shack aberrometer (WaveScan, VISX) was used to measure the overall wavefront aberrations for scotopic pupils.
Results: The wavefront error of HOAs did not increase postoperatively in either group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s. Normalized polar Zernike coefficients compared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lu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pherical aberration term in the wavefront-guided LASIK group (p<0.001). Comparing normalized polar Zernike coefficients valu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pherical and 2nd coma aberrations at postoperative 1 month in wavefront-guided LASEK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wavefront-guided LASIK group (p=0.002, both).
Conclusions: HOAs did not increase in either wavefront-guided LASIK or wavefront-guided LASEK compared to the previous conventional methods. However, the average RMS wavefront error of the HOAs was lower in the wavefront-guided LASIK group at 1 month postoperatively (p=0.0004).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1025.2004.45.10.014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