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 양식장 밀집해역인 거제한산만의 저서동물군집 구조와 저서환경의 시·공간적 변동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굴 양식지인 거제한산만에서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및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를 위해 굴 양식지와 비양식지를 포함하는 총 15개 정점을 선정하였으며 2008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표층퇴적물은 평균입도 9.0 Φ 전후의 극세립실트로 구성되었으며 총유기탄소는 평균 1.9%이었다. 용존산소농도의 평균은 8.1 mg/L이었으며 사계절중 가장 낮은 값은 보인 8월에는 해역 수질환경기준 II등급에 해당하는 농도가 관찰되었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ada (Hanʼguk Haeyang Hakhoe) pp. 213 - 228
Main Authors 윤상필, 정래홍, 홍석진, 오현택, 이원찬, 김연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해양학회 01.11.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978
2671-88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굴 양식지인 거제한산만에서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및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를 위해 굴 양식지와 비양식지를 포함하는 총 15개 정점을 선정하였으며 2008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표층퇴적물은 평균입도 9.0 Φ 전후의 극세립실트로 구성되었으며 총유기탄소는 평균 1.9%이었다. 용존산소농도의 평균은 8.1 mg/L이었으며 사계절중 가장 낮은 값은 보인 8월에는 해역 수질환경기준 II등급에 해당하는 농도가 관찰되었다. 저서동물군집의 총 종수는 351종, 평균 개체밀도는 3,675 개체/m2 이었으며 두 가지 변수에서 모두 다모류가 가장 우세한 동물군이었다. 출현종수와 개체밀도는 시·공간적으로 크게 변하였으며 계절적으로는 5월에 그리고 공간적으로 내만역 보다는 수로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Lumbrineris longifolia(21.3%), Aphelochaeta monilaris(17.8%) 그리고 Ericthonius pugnax(6.1%) 등으로 모두 유기물이 풍부한 해역을 대표하는 종들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전체군집은 내만역과 수로역으로 구분되었다. 전체군집의 시·공간적 변화와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요인은 총유기탄소와 산휘발성황화물이었다. 저서동물군집 구조와 주요환경요인의 특성은 거제한산만에서 유기물 오염의 징후가 있음을 의심하게 하였으며 그러한 현상은 특히 내만역의 굴 양식지에서 뚜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eoje-Hansa Bay, which is the greatest oyster producing site in Korea. Field survey for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os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15 stations covering oysterfarming sites and non-farming sites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8. The grain size of surface sediments was dominated by very fine silt with the mean phi of about 9 Φ and TOC was 1.9% on average. Mean dissolved oxygen content was 8.1 mg/L and lowest in August corresponding to the 2nd degree in seawater quality criteria. Total species number was 351 and mean density was 3,675 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polychaete worms. Spatio-temporal variation in above two biological variables was great with higher values seasonally in spring and spatially in channels rather than inner bay. Dominant species were Lumbrineris longifolia(21.3%), Aphelochaeta monilaris (17.8%) and Ericthonius pugnax(6.1%), all of which are typical species of organically enriched area. From the multivariate analyses, the whol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of channel and inner bay group. Spatio-temporal changes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Geoje-Hansan Bay were related to those of TOC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Our results showed that Geoje-Hansan Bay should be intermediately affected by organic pollution, and that such organic enrichment was more remarkable at farming stations in the inner bay. KCI Citation Count: 12
Bibliography:G704-000255.2009.14.4.003
ISSN:1226-2978
2671-8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