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주변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 패턴과 저서환경의 특징

본 연구는 부산항 주변 저서생태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 패턴과 저서환경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북항, 남항 그리고 감천항 내·외측에 선정된 15개 정점에서 2007년 2월부터 12월 사이에 계절별로 진행되었다. 부산항 주변 저서환경요인 중 수온, 염분, 퇴적물 특성 등은 전반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보였으나, 총유기탄소(TOC), 산휘발성황화물(AVS), coprostanol과 같은 유기물 함량 및 오염과 관련된 변수들은 부산항의 내·외측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ada (Hanʼguk Haeyang Hakhoe) pp. 125 - 138
Main Authors 정래홍, 윤상필, 김연정, 최민규, 이원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해양학회 01.08.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978
2671-88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부산항 주변 저서생태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 패턴과 저서환경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북항, 남항 그리고 감천항 내·외측에 선정된 15개 정점에서 2007년 2월부터 12월 사이에 계절별로 진행되었다. 부산항 주변 저서환경요인 중 수온, 염분, 퇴적물 특성 등은 전반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보였으나, 총유기탄소(TOC), 산휘발성황화물(AVS), coprostanol과 같은 유기물 함량 및 오염과 관련된 변수들은 부산항의 내·외측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저서다모류군집의 총 종수는 96종, 평균 개체밀도는 1,814 개체/㎡이었으며, 출현종수는 대체로 외측에서, 개체밀도는 내측에서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Aphelochaeta monilaris, Magelona japonic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다수의 유기물 오염지표종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전체 군집은 부산항의 내측군집과 외측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계절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전체군집구조와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요인은 coprostanol과 산휘발성황화물이었다. 생물과 환경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부산항 내측의 유기물 오염이 의심되었으며, 그러한 현상은 북항 내측에서 특히 뚜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nthic condition around Busan port by analysing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community and some benthic environmental factors. Field survey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15 stations covering in and outside of Busan port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7.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measured,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he type of surface sediment showed little changes among the stations, but factors related to organic enrichment such as TOC, AVS, coprostanol showed an obvious contrast, especially between in and outside of Busan port. Total number of species was 96 and mean density was 1,814 ind./㎡. Species richness was higher in the outside and density was opposite to that. Dominant species were Aphelochaeta monilaris, Magelona japonic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etc. and many of them were typical species of organically enriched area. From the multivariate analyses, the whole polychaete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port and seasonal changes didn't have any influential effects on the result. Environmental factors showing the best matching with the community structure were coprostanol(ρ = 0.7) and AVS(ρ = 0.4), which implied organically enriched condition within the port. In this context, the innermost area of Bukhang was in highly enriched state.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000255.2011.16.3.001
ISSN:1226-2978
2671-8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