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성폐렴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특징: 전형적 폐결핵, 지역사회획득폐렴과의 비교
목적: 결핵성폐렴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상과 방법: 결핵성폐렴으로 진단된 51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 소견을 전형적 폐결핵, 지역사회획득폐렴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결핵성폐렴 환자의 평균연령은 전형적 폐결핵 및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 비해 높았다(66.6 ± 15.8 vs. 53.1 ± 17.1, 54.9 ± 15.7)(p < 0.05). 호흡곤란의 빈도는 결핵성폐렴과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서(24.5% vs. 46.9%, 47%) 기저 질환으로 당뇨가 있는 비율이 결핵 환자에...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pp. 21 - 26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영상의학회
01.01.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951-0805 |
Cover
Summary: | 목적: 결핵성폐렴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대상과 방법: 결핵성폐렴으로 진단된 51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 소견을 전형적 폐결핵, 지역사회획득폐렴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결핵성폐렴 환자의 평균연령은 전형적 폐결핵 및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 비해 높았다(66.6 ± 15.8 vs. 53.1 ± 17.1, 54.9 ± 15.7)(p < 0.05). 호흡곤란의 빈도는 결핵성폐렴과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서(24.5% vs. 46.9%, 47%) 기저 질환으로 당뇨가 있는 비율이 결핵 환자에서 의미있게 높았다(24.1% vs. 8.2%)(p < 0.05). 폐렴중증지수는 결핵성폐렴과 지역사회획득폐렴이 각각 전형적 결핵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79.5 ± 31.1, 71.8 ± 28.3 vs. 64 ± 29.3) (p < 0.05). 방사선 소견으로 폐하부를 침범하는 경우는 전형적 폐결핵에 비해 결핵성폐렴과 지역사회획득폐렴에서 높았으며(22.4% vs. 44.8%, 75.5%), 공동의 빈도(13.7% vs. 6.1%)와 중심소엽성 결절의 빈도(74.5% vs. 22.4%)는 결핵성폐렴 환자가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 비해 높았다(p < 0.05).
결론: 결핵성폐렴은 지역사회획득폐렴과 비슷한 임상양상을 보이지만 고령에서 폐하엽을 침범하고 공동과 중심소엽성결절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적극적인 진단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berculous pneumonia (TBPn).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the clinical presentation, pneumonia severity index (PSI), and radiological findings of 51 TBPn patients with those of typical pulmonary tuberculosis (PulTB) and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patients.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TBPn was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CAP or PulTB (66.6 ± 15.8 vs. 53.1 ± 17.1, 54.9 ± 15.7) (p < 0.05). Diabetes mellitus was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TB than in those with CAP (24.1% vs. 8.2%) (p < 0.05). The PSI scores for TBPn and CAP were similar (79.5 ± 31.1 vs. 71.8 ± 28.3, respectively) and were higher than that for PulTB (64 ± 26.8) (p < 0.05). The ratio of lower lobe involvement was higher in TBPn and CAP than in PulTB (49% and 75.5% vs. 22.4%, respectively). Cavity formation and centrilobular nodules were more common in TBPn than in CAP (13.7% vs. 6.1% and 74.5% vs. 22.4%, respectively) (p < 0.05).
Conclusion: Although TBPn shows a similar clinical presentation to CAP, it is more common in elderly patients and more commonly involves lower lobe involvement with cavity formation and centrilobular nodules. Therefore, in cases in which there may be diagnostic uncertainty, appropriate diagnostic procedures following these findings are required to differentiate these diseas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499.2013.68.1.001 |
ISSN: | 295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