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기관지연화증 환자에서 CT상 중심 기관지의 정량화

목적: 흉부 CT에서 기관-기관지연화증의 중심 기관지 정량화를 통해 어떤 인자가 이 질환의 진단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흉부 CT에서 기관-기관지연화증으로 진단받은 19명(68.0 ± 15.0세; 남자 6명, 여자 13명)과 정상인 38명(65.5 ± 21.5세; 남자 6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는 호기와 흡기 말에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영상에 대해서 기관과 좌우 기관지를 정량화하였다. 두 그룹에서 내강 둘레의 평균값, 벽의 평균 두께를 Student 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pp. 299 - 307
Main Authors 임원형, 진공용, 한영민, 김은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영상의학회 01.05.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51-0805
DOI10.3348/jksr.2016.74.5.29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흉부 CT에서 기관-기관지연화증의 중심 기관지 정량화를 통해 어떤 인자가 이 질환의 진단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흉부 CT에서 기관-기관지연화증으로 진단받은 19명(68.0 ± 15.0세; 남자 6명, 여자 13명)과 정상인 38명(65.5 ± 21.5세; 남자 6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는 호기와 흡기 말에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영상에 대해서 기관과 좌우 기관지를 정량화하였다. 두 그룹에서 내강 둘레의 평균값, 벽의 평균 두께를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호기 시에 기관-기관지연화증 환자의 중심 기관지 내강 둘레의 평균값이 정상군에 비해 더 작았다(기관: 43.97 mm vs. 49.04 mm, p = 0.020; 우측 주 기관지: 33.52 mm vs. 42.69 mm, p < 0.001; 좌측 주 기관지: 26.76 mm vs. 31.88 mm, p = 0.012). 기도 벽의 평균 두께 또한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더 얇았다(기관: 1.89 mm vs. 2.22 mm, p = 0.017; 우측 주 기관지: 1.64 mm vs. 1.83 mm, p = 0.021; 좌측 주 기관지: 1.61 mm vs. 1.75 mm, p = 0.016). 결론: 중심 기관지의 CT 정량화를 통해, 호기 시의 기도 내강 둘레 감소와 벽의 두께 감소가 기관-기관지연화증 진단의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 Purpose: To know which factors help to diagnose tracheobronchomalacia (TBM) using CT quantification of central airway.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13 to July 2014, 19 patients (68.0 ± 15.0 years; 6 male, 13 female) were diagnosed as TBM on CT. As case-matching, 38 normal subjects (65.5 ± 21.5 years; 6 male, 13 female) were selected. All 57 subjects underwent CT with end-inspiration and end-expiration. Airway parameters of trachea and both main bronchus were assessed using software (VIDA diagnostic). Airway parameters of TBM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using the Student t-test. Results: In expiration, both wall perimeter and wall thickness in TBM patients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normal subjects (wall perimeter: trachea, 43.97 mm vs. 49.04 mm, p = 0.020; right main bronchus, 33.52 mm vs. 42.69 mm, p < 0.001; left main bronchus, 26.76 mm vs. 31.88 mm, p = 0.012; wall thickness: trachea, 1.89 mm vs. 2.22 mm, p = 0.017; right main bronchus, 1.64 mm vs. 1.83 mm, p = 0.021; left main bronchus, 1.61 mm vs. 1.75 mm, p = 0.016). Conclusion: Wall thinning and decreased perimeter of central airway of expiration by CT quantification would be a new diagnostic indicators in TBM.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499.2016.74.5.005
ISSN:2951-0805
DOI:10.3348/jksr.2016.74.5.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