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쇄관절 후방탈구: 증례 보고

외상성 흉쇄관절 탈구는 흔하지 않은 손상으로 흉쇄관절 후방탈구는 흉쇄관절 전방탈구와 비교하여 더욱 드물게 나타난다. 하지만 흉쇄관절 후방탈구는 종격동 구조물의 압박이나 파열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다. 단순 방사선 사진만으로는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중첩으로 진단이 어려울 수 있고, 이로 인해 초기 임상 평가에서 쉽게 간과되기도 한다. 확진 및 연관된 종격동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술이 필요하다. Traumatic stern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is an unc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pp. 128 - 130
Main Authors 윤소화, 김선기, 김기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영상의학회 01.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51-0805
DOI10.3348/jksr.2015.72.2.12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외상성 흉쇄관절 탈구는 흔하지 않은 손상으로 흉쇄관절 후방탈구는 흉쇄관절 전방탈구와 비교하여 더욱 드물게 나타난다. 하지만 흉쇄관절 후방탈구는 종격동 구조물의 압박이나 파열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다. 단순 방사선 사진만으로는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중첩으로 진단이 어려울 수 있고, 이로 인해 초기 임상 평가에서 쉽게 간과되기도 한다. 확진 및 연관된 종격동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촬영술이 필요하다. Traumatic stern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is an uncommon injury, and posterior sternoclavicular dislocation occurs less frequently compared to anterior sternoclavicular dislocation. However, this type of dislocation has the potential for serious complications due to compression or laceration of the mediastinal structures. The diagnosis can be difficult using plain radiographs alone due to radiographic-anatomic superimposition. Therefore, posterior sternoclavicular dislocation is easily missed at the initial clinical evaluation.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is required for a definite diagnosis and to assess associated mediastinal injuri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499.2015.72.2.009
ISSN:2951-0805
DOI:10.3348/jksr.2015.72.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