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 낭성 병변의 평가에 있어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 비교
목적: 췌장 낭성 병변 평가에서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T; 이하 MDCT)과 자기공명영상(이하 MRI)의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부터 2012년 3월까지 췌장 낭성 병변이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환자 중 수술 전 MDCT와 MRI 검사를 모두 시행한 3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영상 소견 분석은 병변을 점액성과 비점액성 및 침습적과 비침습적 병변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병변 형태 분석과 질환명 진단 및 특정 질환의 진단율을 구하였다. 각각의 항목은 CT와 MRI에서...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pp. 373 - 38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영상의학회
01.06.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951-0805 |
DOI | 10.3348/jksr.2015.72.6.373 |
Cover
Summary: | 목적: 췌장 낭성 병변 평가에서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T; 이하 MDCT)과 자기공명영상(이하 MRI)의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부터 2012년 3월까지 췌장 낭성 병변이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환자 중 수술 전 MDCT와 MRI 검사를 모두 시행한 3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영상 소견 분석은 병변을 점액성과 비점액성 및 침습적과 비침습적 병변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병변 형태 분석과 질환명 진단 및 특정 질환의 진단율을 구하였다. 각각의 항목은 CT와 MRI에서 개별적으로 평가하였다. CT 또는 MRI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를 구하였다. 두 검사의 병변의 형태 분석 역량 평가는 kappa치를 이용하였다.
결과: 점액성과 비점액성 병변 감별에서 MRI의 민감도(0.889), 특이도(0.857) 및 정확도(0.882)가 CT에 비해 높았다(p = 0.03). 비침습적과 침습적 병변 감별에서 민감도는 MRI (0.842 vs. 0.684)가 높았으나, 특이도는 CT (0.667 vs. 0.800)가 높았다. 병변의 형태 분석 항목 중 병변의 중격과 벽에 대한 평가에서 CT에 비해 MRI의 분석 능력이 우수하였다. 그 외의 항목에 대하여 두 방법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특정 질환 진단율은 CT의 경우 47.1%, MRI의 경우 58.8%였다.
결론: CT와 MRI 검사는 췌장의 낭성 병변에 대한 타당한 진단방법이나 점액성 병변의 감별이나 중격과 벽의 평가에 있어서는 MRI가 보다 우수한 방법이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characterization of pancreatic cystic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n 34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proven cystic pancreatic lesions who underwent both preoperative MDCT and MRI. CT and MRI were independently evaluated for differentiating mucinous vs. non-mucinous lesions, differentiating aggressive vs. non-aggressive lesion, analyzing morphological features, and evaluating specific leading diagnoses.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determined. Competency assessment of lesional morpholog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appa values of the 2 tests.
Result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MRI for differentiating mucinous vs. non-mucinous lesions were higher than CT (p = 0.03). For differentiating aggressiveness, the sensitivity of MRI was better than CT, but the specificity of CT was better than MRI. In evaluation of morphologic features, MRI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characterization of septa and wall. Otherwise, the 2 modalities showed similarly good performance. MRI was better than CT in determining a specific diagnosis (58.8% vs. 47.2%, respectively).
Conclusion: CT and MRI are reasonable diagnostic methods for characterization of pancreatic cystic lesions. However, MRI enables more confident assessment than CT in differentiating mucinous vs. non-mucinous lesion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epta and wall.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499.2015.72.6.007 |
ISSN: | 2951-0805 |
DOI: | 10.3348/jksr.2015.72.6.3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