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기도질환에서 호기말 흉부 CT를 이용한 기관협착에 관한 연구

목적: 기관과 기관지와 같은 대기도는 호기시에 어느 정도의 협착이 정상적으로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호시기 대기도의 협착이 만성 기도질환에서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만성 기도질환으로 흉부 CT 촬영을 하였던 환자에서 호기말 CT 영상을 이용한 기관협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성 기도질환으로 흉부 고해상 CT와 폐활량검사를 시행받았던 모든 경우에서 호기말 scan을 확인할 수 있었던 환자 45명과 정상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기말 CT에서 대동맥궁 위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pp. 172 - 178
Main Authors 이상렬, 송은주, 백대현, 이성혁, 이재형, 이기덕, 이병훈, 김상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2.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기관과 기관지와 같은 대기도는 호기시에 어느 정도의 협착이 정상적으로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호시기 대기도의 협착이 만성 기도질환에서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만성 기도질환으로 흉부 CT 촬영을 하였던 환자에서 호기말 CT 영상을 이용한 기관협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성 기도질환으로 흉부 고해상 CT와 폐활량검사를 시행받았던 모든 경우에서 호기말 scan을 확인할 수 있었던 환자 45명과 정상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기말 CT에서 대동맥궁 위치의 스캔을 선택하고 흡기말 스캔 중 같은 위치의 스캔을 선정하여 의료용 영상 프로그램 내 측정도구로 각각의 기관내부 면적과 전후 직경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기관내부 면적과 전후 직경의 호기시에 줄어드는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이를 폐활량 검사 등의 임상지표와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호기말 평균 기관내부 면적 감소율은 환자군에서 13.3%, 정상 대조군에서 9.0%이었으며, 호기말 기관 전후직경 감소율은 각각 11.8%와 9.6%였다. 기관내부 면적 감소율은 기관지확장증에서 평균 14.3%로 가장 많았으나 질환군에 따른 호기시 기관내부 면적 감소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관내부 면적 감소율 28% 이상의 협착소견이 있었던 경우는 3명(6.7%)이었으며 이들의 기저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이 2명, 기관지확장증이 1명이었다.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포함하는 전체인원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을 때 기관내부 면적 감소율은 강제폐활량 예측치 % (r=-0.33, p=0.01), 1초간 강제날숨량 예측치 % (r=-0.27, p=0.03)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전후직경 감소율은 폐활량지표와 의미있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흉부 CT를 이용하여 측정된 호기말 기관 내부면적의 감소는 만성 기도질환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심하였으며 이는 폐기능과 관련이 있었다. Background/Aims: Partial tracheal narrowing can occur during expiration in the normal population. It is not certain whether the trachea collapses more readily in chronic airway disease. We evaluated the tracheal narrowing at end-expir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Methods: We investigated 45 patients and 22 normal subjects who underwent high-resolution CT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In each subject, two CT images at the same level of the aortic arch were compared: one at end-inspiration and the other at end-expiration. The cross-sectional area and sagittal diameter of the trachea were measured using a hand-tracing method, using the in-program measuring tools of Medical Image Viewer, and the percentage changes of each value were calculated. Results: Of the 45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disease, 21 ha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16 had bronchial asthma, and 8 had bronchiectasis. The mean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was 13.3% in the patients and 9.0% in the normal subjects (p<0.05), and the mean change in sagittal diameter was 11.8 and 9.6%, respectively (p>0.05). The decrease in tracheal cross-sectional area was greatest in bronchiectasis, while the greatest decrease in sagittal diameter was in bronchial asthm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cheal collapsibility among the disease groups. The percent change in the tracheal cross-sectional area was correlated with the % predicted FVC (r=-0.033, p<0.05) and FEV1 (r= 0.277, p<0.05) in both the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Conclusions: The decrease in tracheal cross-sectional area at end-expiration measured using chest CT was greater in chronic airway disease than in normal subjects, and was associated with ventilatory func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582.2009.76.2.020
ISSN:1738-9364
2289-0769